부동산 주택

한국감정원, 공인중개사 대상 설문...‘2017년 주택시장’ 보합세 예상

모든 거래유형 보합 전망 우세, 매매(54.8%), 전세(66.1%), 월세(64.8%)

거래량은 매매는 감소, 전세와 월세는 지난해 수준 전망

거래유형별 2017년 주택 가격 전망.거래유형별 2017년 주택 가격 전망.


한국감정원이 공인중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 결과 ‘2017년 주택시장’은 전반적으로 보합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됐다.

13일 한국감정원은 전국 우수협력공인중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7년 주택시장 전망’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지난 달 16~26일에 걸쳐 6,000여 명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조사 형태로 실시했고, 총 1,846명이 참여했다.


조사 결과 2017년 주택가격에 대한 전망은 매매·전세·월세 모두 보합 의견이 과반 이상(매매54.8%, 전세66.1%, 월세64.8%)으로 나타났다. 보합 응답자를 제외할 경우 모든 지역과 거래유형에서 소폭 하락 응답이 가장 높았다.

먼저, 매매시장에 대한 가격 전망은 보합이라고 응답한 이들이 과반 이상(54.8%)이었다. 다음으로는 소폭 하락 의견(22.9%)이 많았고, 상승 전망의 주요 이유는 매매전환 수요 증가(53.9%), 하락 전망 주요 이유는 대출 및 주택금융 규제(26.2%)로 나타났다.


전세시장에 대한 가격 전망도 보합 의견(66.1%)이 가장 우세했다. 2016년 하반기 주택시장 전망조사 결과와 비교하면 상승 응답률이 낮아진 것(39.4%→12.8%)으로 조사됐다. 상승 전망 주요 이유는 매수 관망세로 인한 전세수요 증가(57.6%), 임대인 월세 선호로 전세물량 감소(27.1%) 등이었다. 하락 전망 주요 이유는 신규주택 전세공급 증가(50.1%), 매매가격 하락에 따른 동반하락(37.8%)의 의견이 많았다.

관련기사



월세시장에 대한 가격 전망 역시 보합(64.8%), 하락(31.5%), 상승(3.6%) 순이었다. 상승 전망 주요 이유는 전세 가격 상승 및 전세 매물 부족으로 인한 준 전세 중심의 임차인 월세전환 증가(46.3%)가 가장 많았다. 하락 전망 주요 이유는 신규 및 대체주택 월세공급 증가의 응답률(40.9%)이 높았다.

거래량의 전망을 묻는 질문에는 매매의 경우 감소할 것(63.1%)으로 가장 많이 응답했다. 반면, 전·월세는 비슷할 것(전세58.6%, 월세60.2%)으로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한편, 2017년 호황이 예상되는 부동산유형은 △신규분양 아파트(18.8%) △상가(18.2%) △토지(11.4%) △재건축·재개발(10.7%) △기존아파트(10.4%) 등의 순으로 예상됐다.

정순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