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트럼프, 러와는 관계개선 시사 '中 힘빼기'

["하나의 中도 협상대상" 공세 수위 높여]

"美 돕는다면 러 제재 해제 가능"

'해킹' 문제 의식 속도는 조절

푸틴과 조기 정상회담 의지도

中과는 남중국해·영유권 분쟁 등

정면대결 불사...갈등 확산 조짐





취임을 불과 5일 앞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주요2개국(G2)으로 미국과 함께 사실상 세계 경제·정치의 한 축인 중국을 향해 공세의 수위를 높이면서 트럼프 시대 글로벌 역학구도의 격변이 예상된다. 지난 13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과의 인터뷰에서 그가 중국의 가장 핵심적 외교원칙인 ‘하나의 중국’ 철회 가능성을 다시 한번 언급한 것은 물론 ‘환율조작국’으로 낙인찍은 것은 미국만이 유일무이의 강대국이라는 패권주의의 부활을 예고한 것이라는 분석까지 제기된다. 이날 인터뷰에서 대러시아 제재 해제 가능성까지 밝힌 것도 중국과 러시아의 밀월을 흔들어 중국의 힘을 약화시키겠다는 속내가 반영된 것이라는 평가다.


WSJ는 트럼프 당선인이 인터뷰에서 “러시아 제재를 해제하는 데 열려 있는 반면 ‘하나의 중국’ 원칙을 지키는 데 적극성을 보이지 않았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당선인은 대중·대러 관계를 재편하는 데 ‘모든 가용한 수단(any available leverage)’을 활용하려 한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트럼프 당선인은 우선 수십 년간 미국의 적국으로 간주돼온 러시아에 대해 “실제로 우리를 돕게 된다면 좋은 일을 하려는 상대국을 왜 제재해야 하느냐”고 반문하며 대러 제재 해제 가능성을 적극적으로 열어놓았다. 그는 러시아가 해킹을 통해 미 대선에 개입했다는 의혹을 인정하지 않다가 11일 기자회견에서 처음 수용한 바 있다. 일단 트럼프 당선인은 의회가 러시아의 대선 개입을 ‘중대 문제’로 조사하기로 한 것을 의식한 듯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지난해 12월 전격 단행한 러시아 제재에 대해 ‘당분간은’ 최소한 유지하겠다며 일단은 속도 조절을 하는 모습이다. 하지만 “러시아가 (우리와) 만나고 싶어하는 것을 이해한다”며 “이는 나에게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취임 후 조기 정상회담을 시사함으로써 취임 후 본격적으로 대러 관계 회복에 나설 의지를 내비쳤다. 일각에서는 트럼프의 첫 정상회담 상대가 푸틴이 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내놓고 있다.

중국을 향한 트럼프 당선인의 시각은 ‘G2의 정면충돌’을 배제하지 않는 강경 노선을 예고하며 러시아와는 극명하게 엇갈리고 있다. 대만을 독립국가로 보지 않는 하나의 중국 원칙을 인정하지 않을 수 있다는 그의 입장은 취임 후 그의 외교·경제적 타깃이 중국임을 분명히 한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는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 등 미중 간 긴장을 ‘전략적 인내’를 통한 외교적 노력으로 해결하려는 오바마 정부와도 차별화된다. 1979년 미중 수교 이후 처음 대통령 당선인 자격으로 차이잉원 대만 총통과 전화통화를 한 데 이어 하나의 중국에 대해 “협상 대상”이라고 밝히면서 미중 갈등은 트럼프 정부 출범 이전부터 고조되는 분위기다. 특히 트럼프의 잇단 도발에 중국 언론들이 “미국이 피해를 준다면 중국은 절대 주저하지 않고 보복에 나설 것”이라며 정면대결도 불사하겠다고 나서면서 갈등은 더욱 확산될 조짐이다.

다만 “중국이 의도적으로 통화가치를 떨어뜨리고 있는 것이 확실하다”면서도 “중국과 (환율 문제에) 먼저 대화를 하겠다”며 한발 물러선 것은 트럼프 역시 G2 간 전면 무역전쟁에는 부담을 느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반중 성향이 강한 피터 나바로 UC어바인대 교수를 국가무역위원장에 내정한 트럼프 당선인이 취임 후에도 끊임없이 중국을 자극하며 실리 위주의 외교·무역 협상을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뉴욕=손철특파원 runiron@sedaily.com

손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