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악취나는 화장실 OUT" 서울시 2020년까지 학교화장실 완전 개선한다

2014∼2016년 630억 들여 440개 화장실 개선

학생 만족도 97% 달해

양치대 설치 후 전국 최저 수준이던 양치율도 2배 높아져

2020년까지 서울 시내 초·중·고등학교 화장실 양변기 비율이 80%까지 확대된다. 변기 수도 늘려 변기 당 이용 학생 수가 11명을 넘지 않도록 해 불필요하게 기다리는 시간도 줄인다. 100개 학교에 양치대도 설치해 학생 위생 건강에도 신경 쓴다.

서울시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학교화장실 환경 개선안을 17일 발표했다.

지난 2012년 화장실 시민연대가 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학생의 64.7%가 학교 시설 중 가장 불편하고 만족스럽지 못한 공간으로 화장실을 꼽고 있다. 심지어 학교에서는 화장실 이용 자체를 하지 않고 참았다가 집에서 용변을 보는 학생들도 제법 있다. 이에 서울시와 서울시교육청은 지난 2014년부터 학교화장실 환경 개선 작업에 들어갔다.


지난해까지 총 630억원을 들여 노후화하고 비위생적이던 서울 시내 초·중·고등학교 화장실 440개를 개선했다. 이 중 70개 학교 3,694명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한 결과, 화장실 개선 작업 이후 학생 만족도가 97%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관련기사



특히 지난해 처음으로 101개 학교를 대상으로 실시한 ‘양치대 만들기’ 사업 덕분에 36%에 머물던 양치율도 60.1%까지 뛰었다는 게 서울시 측 설명이다.

서울 밀알초등학교 양치대 모습. /사진제공=서울시서울 밀알초등학교 양치대 모습. /사진제공=서울시




이 같은 성과를 바탕으로 서울시는 학교화장실 개선사업을 애초 목표치인 675개 학교를 넘어서 800개 학교에 실행하기로 했다. 또, 내년부터 2020년까지 학생·학부모의 화장실 수요 조사와 교육청·학교 등 관계기관의 의견을 수렴, 서울시 모든 학교의 노후되고 비위생적인 학교 화장실을 완전 개선할 계획이다.

올해 화장실 개선 대상학교 선정은 다음 달 3일까지 받고 있다. 교육청 현장실사와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심의위원회를 통해 대상학교가 최종 선정된다.

김용복 서울시 평생교육정책관은 “더럽고 불편한 곳이라는 인식이 강했던 화장실을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게 개선했더니 양치율도 늘고 학교폭력도 감소하는 교육적 효과가 있었다”고 말했다.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춘 서울 길동초등학교 화장실의 모습. /사진제공=서울시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춘 서울 길동초등학교 화장실의 모습. /사진제공=서울시


김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