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해상작전헬기 12대 해외 추가 도입…2020년부터 배치

시누크 헬기 40여대 성능개량, 사업비 총 1조7,900억원

정부는 1조1,790억원을 들여 군의 시누크 헬기(CH/HH-47D)의 성능을 개량하고 해상작전헬기 12대를 추가로 해외 구매할 계획이다.

17일 국방부 청사에서 한민구 국방부 장관 주재로 열린 방위사업추진위원회(방추위)는 해상작전헬기 2차 사업을 경제성과 전력화 시기 등을 고려해 국외구매로 추진하는 방안을 심의·의결했다. 우리 군은 함정에 탑재해 운용하는 해상작전헬기 20대를 두 차례에 나눠 확보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1차분 8대는 영국과 이탈리아가 합작해 만든 ‘와일드캣(AW-159)’ 기종이 선정돼 지난해 도입이 완료됐다. 이번 방추위에서는 2차분인 나머지 12대도 외국에서 구매하기로 결정했다. 방사청이 2차 사업 방식을 결정하기 위해 진행한 3차례의 선행연구에서 모두 국외 구매가 국내 개발보다 효율적이라는 결론이 나온 바 있다.


방사청은 총 9,000억원 안팎의 예산을 투입해 2020∼2023년 12대를 순차적으로 들여올 계획이다. 이를 위해 올해 말 입찰 공고를 내고 내년 말 기종을 선정한다. 2차 사업에는 1차 사업을 수주했던 와일드캣과 미국산 ‘시호크(MH-60R)’, 유럽 4개국(프랑스·독일·이탈리아·네덜란드)이 합작해 만든 ‘NH-90’ 등이 경합할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기사



방추위는 이와 함께 대형기동헬기인 시누크의 성능개량사업 기본전략도 승인했다. 우리 육군과 공군이 운용하는 시누크 헬기 40여 대를 2018년부터 2028년까지 성능개량하는 사업으로 모두 8,900억원이 투입된다. 조종석이 아날로그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바뀌고 엔진 출력도 3,700마력에서 4,700마력으로 커지며 자동비행조종장치도 더 나은 성능으로 교체된다.

헬기의 임무 유형에 따라 레이더 교란장치, 열추적 미사일 회피장치 등이 장착되거나 탑승병력 보호를 위한 방탄판이 설치돼 생존성과 작전능력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방사청은 기대했다. 이 사업은 국내 업체가 국외 업체와의 기술협력을 통해 추진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방사청 관계자는 “도입한 지 25년이 넘어 병력수송 임무 정도를 담당하는 데 그쳤던 시누크 헬기의 성능이 크게 향상될 것”이라고 말했다.

/권홍우기자 hongw@sedaily.com

권홍우 논설위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