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교육부, 영재교육 효과성 검증 위해 25년간 장기 추적조사 시작

/출처 = 이미지투데이/출처 = 이미지투데이




우리나라 영재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처음으로 대규모 장기 추적조사가 시행된다.


교육부는 한국교육개발원에 의뢰해 영재교육의 효과성과 영재교육을 받은 학생들의 사회 공헌도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한국 영재교육 종단연구’를 한다고 18일 발표했다.

우리나라 영재교육은 2002년 3월 영재교육진흥법 도입에 따라 2003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이에 따라 초중고 영재학급, 고교 영재학교, 시도교육청·대학 등 영재교육원이 잇달아 개설됐다.

영재교육 대상자 수는 영재교육이 본격 시행되기 직전인 2002년 약 1만 명에서, 2015년 10만 9,900여 명에 이르는 등 10배 늘었다.


이에 교육부는 영재교육이 양적으로는 크게 확대됐으나, 효과성을 검증하는 작업은 부족했다고 판단해 이와 같은 연구를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관련기사



교육부는 특히 영재 선발을 위한 과도한 사교육 문제, 영재학교·과학고 학생들이 의대로만 진학하는 현상 등 문제점을 포함하여 체계적 효과성 검증을 위해 올해 본격적인 연구에 나설 방침이다.

조사 대상은 올해 영재학교에 입학하는 신입생 약 800명이다. 현재 영재학교는 서울과학고, 경기과학고, 대전과학고, 대구과학고, 광주과학고, 한국과학영재학교,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 등 8곳이다.

학부모 동의를 거쳐 영재교육 대상 학생이 40대 안팎의 나이가 될 2041년까지 총 25년 간(기초연구를 한 2016년까지 포함) 추적조사를 실시한다.

교육부는 영재교육의 영재성 발현 및 계발의 패턴, 영재성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진학·취학 등 사회적 성취도, 직업·가정·삶의 만족도 등을 심층적으로 조사할 계획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영재교육이 시작된 지 14년이 지나면서 이제 그 효과성과 사회적 공헌도 등을 장기적, 체계적으로 분석해야 할 시점”이라며 “학부모 동의 여부에 따라 조사 대상 학생 수는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세영인턴기자 sylee230@sedaily.com

이세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