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황교익, 송해 이어 최불암 사례 언급…“KBS 변명 구차하다”

황교익, 송해 이어 최불암 사례 언급…“KBS 변명 구차하다”




맛 칼럼니스트 황교익이 KBS의 해명을 정면으로 반박했다.


20일 오후 황교익은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KBS가 이런저런 반론을 하고 있다. 송해 선생의 경우 ‘논란이 된 방송은 18대 대선 3일 전인 2012년 12월 16일 방송된 ‘전국노래자랑’이다. 두 달 여 전 10월 14일 칠곡군에서 녹화됐는데, 송해 선생이 정규방송 하루 전인 12월 15일 오후 당시 박근혜 후보를 지지하는 발언을 했다‘며 시간적 제약을 변명으로 내놓았다”고 말했다.

이어 “KBS식의 어법을 빌리면 대선 3일 전 “민감한” 시기에 벌어진 일“이라며 ”의지만 있으면 긴급 편성이 어렵지 않다는 걸 알만한 사람은 다 안다. 다큐 한 편 재방해도 된다. 변명이 구차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왕 이렇게 되었으니 최불암 선생의 예도 들겠다. 관련 기사를 링크했다. 당시 KBS의 입장을 잘 읽어보시라. 나에게 한 말과 많이 다르다”며 ‘(특정 정치 후보 캠프에 참여한 인사의 경우) KBS 내부 규정상 당연히 시사프로그램을 맡을 수 없다. 그러나 진행자가 정치적 의사를 피력할 여지가 없는 교양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방송사가 자율적으로 (교체를) 결정할 수 있다’는 당시 KBS의 해명을 언급했다.

관련기사



마지막으로 그는 “나는 송해 선생, 최불암 선생을 논란에 끌어들이고 싶지 않았다. 각자의 분야에서 일가를 이룬 우리 사회의 ‘어른’이다. 정치적 신념이 어떠하든 이 분들을 존경하고 있다. KBS는 이 정도에서 사과하고 블랙리스트를 포기하는 게 도리이다. 누굴 또 불러내어야겠는가”라고 말했다.

앞서 지난 19일 황교익은 2012년 대선 당시 박근혜 공개 지지를 선언한 ‘전국노래자랑’의 진행자 송해를 언급하며 KBS에 재차 항의했다. 이에 20일 KBS는 “논란이 된 방송은 18대 대선 3일전인 2012년 12월 16일 방송된 ‘전국노래자랑’”이라며 “이 프로그램은 두 달여 전인 10월 14일 칠곡군에서 송해 선생 사회로 녹화됐다. 그런데 송해 선생이 정규방송 하루 전인 12월 15일 오후, 당시 박근혜 후보를 지지하는 돌발 발언을 했다”고 전했다. 제작진은 이에 따라 “당시 방송 여부를 긴급히 재검토했으나, ‘전국노래자랑’의 경우 수천 명의 관객들과 많은 출연자들이 방송을 전제로 참여해 녹화한데다, 이미 편성이 돼 공지된 방송을 하루 전에 취소하기는 어렵다는 상황판단하에 방송이 이뤄졌다”고 해명했다.

[사진=황교익 페이스북 캡처]

전종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