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스포츠

[조윤선 구속] 주무장관 없는 평창올림픽 어디로?

20일 오후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작성을 주도한 의혹을 받는 조윤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구속 전 피의자심문(영장실질심사)을 받은 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을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20일 오후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작성을 주도한 의혹을 받는 조윤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구속 전 피의자심문(영장실질심사)을 받은 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을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


현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의 구속이라는 돌발 변수로 1년 앞으로 다가온 평창동계올림픽이 또다시 격랑에 휘말릴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정무수석 시절 문화계 블랙리스트에 연루된 혐의로 조윤선 문체부 장관이 21일 구속수감되고 장관직 사퇴가 불가피해짐에 따라 에 따라 당장 내년 2월 개막하는 평창올림픽은 당분간 주무부처 장관 없이 대회를 준비해야 할 판이다.

장관의 공백으로 가장 우려스러운 부분은 ‘돈 문제’다. 조직위는 기업후원 목표수입인 9,400억원 중 약 1,000억원을 아직 모금하지 못했다. 기업 후원금은 조직위 전체 수입계획 중 가장 큰 38%를 차지한다. 은행권의 움직임이 저조해 아직 주거래은행도 선정하지 못한 조직위는 오는 2월3일로 예정된 입찰 결과만 지켜봐야 하는 상황이다. 입찰공고 이전에도 몇몇 협상은 진행됐지만 은행 측이 제시한 금액은 턱없이 낮은 것으로 알려졌다. 평창올림픽을 후원하는 공기업에 경영평가 때 요긴한 가산점을 주는 등의 후원 촉진방안이 일부 마련됐으나 효과는 두고봐야 한다. 조직위의 재원 마련에는 문체부의 역할이 필수적이다. 정부 예산의 운용과 집행을 담당하는 기획재정부와 긴밀한 협의를 통해 평창올림픽을 도울 방법을 강구하는 것이 현재 가장 큰 과제다.


또 정보통신기술(ICT) 올림픽을 표방한 만큼 미래창조과학부 협조도 필수적이다. 그러나 장관의 불명예스러운 부재로 타 정부부처와의 협업이 추진동력을 잃을 위기에 처했다.

관련기사



대외 이미지에도 타격이 예상된다. 다음달 9일 올림픽 D-1년 행사를 시작으로 3월에는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집행위원회가 열린다. 해외 주요 인사들이 참석하는 이 같은 평창올림픽 관련 일정은 1년간 쉼 없이 이어진다. 조직위원장과 함께 선봉에서 평창을 알리고 협조를 부탁해야 할 장관의 부재는 당분간 평창올림픽 이미지에 마이너스일 수밖에 없다. 토마스 바흐 IOC 위원장은 이미 최근 한국의 정세에 대해 우려를 나타낸 바 있다. 지난 19일 외신기자간담회에서 조 장관 사태와 관련한 질문도 나왔다고 한다. 체육계의 한 관계자는 “평창올림픽은 문체부와 조직위원회, 강원도가 3각 편대를 이뤄 대회 준비를 진행해야 하는데 그중 한 축에 문제가 생긴 셈”이라며 “문체부 장관의 공백이 크게 느껴진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그러나 체육계는 이에 따른 동계올림픽의 차질이 최소화되기를 바라고 있다. 조직위의 한 관계자는 “밖에서 생각하는 우려와 달리 문체부의 한 개인과 일을 하는 게 아니기 때문에 조직위 업무에 크게 지장을 받을 일은 없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양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