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박 대통령 측 '반격 모드' 이유는?

국회 측 탄핵소추안 수정에 문제제기 방침

'블랙리스트 직접 지시' 보도 언론사와 특검에도 민형사

탄핵시계 빨라진 데 따른 대응 수단인 듯

박근혜 지난 1일 청와대 상춘재에서 간담회 형식으로 출입기자단과 만나 자신의 입장을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박근혜 지난 1일 청와대 상춘재에서 간담회 형식으로 출입기자단과 만나 자신의 입장을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근혜 대통령 측이 지난 1일 이후 이어져 온 침묵을 깨고 반격 모드로 전환하고 있어 그 배경이 무엇인지 관심이 모인다.


22일 박대통령 측 관계자들에 따르면 박 대통령 탄핵심판 법률 대리인단은 국회 탄핵소추위원단의 탄핵소추안 수정안 제출에 문제를 제기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국회 측은 기존 탄핵소추안에 기재된 박 대통령의 범죄 행위 중 구체적인 죄명은 삭제하고 헌법위배 사항 위주로 소추안을 재작성해 내주 초 헌재에 내기로 했다. 이는 법률 위반 유무를 가리느라 탄핵심판이 지연될 여지를 줄이기 위한 조치다.


그러나 박 대통령 측은 국회 측의 수정안이 채택되려면 국회 본회의 의결 등 절차를 거쳐야 하는 게 맞다며 반격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박 대통령 측은 “국회 절차와 관련한 문제의 소지가 있으므로 이를 주장하려고 한다”며 “청와대도 이 문제를 상당히 주시하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박 대통령 측은 전날인 21일에는 언론과 특검을 향해 법적 조치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박 대통령 측 황성욱 변호사는 박 대통령이 세월호 참사 한 달 뒤 이른바 문화계 블랙리스트 작성을 직접 지시했다는 한 언론 보도에 대해 해당 기자 및 언론사는 물론 이같은 내용을 언론사에 넘겨 준 특검관계자를 형사고소하고 민사상 책임들 묻겠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 측이 이같은 반격을 선택한 이유는 특검의 탄핵 시계가 빨라지고 있는 데 따른 방어 차원인 것으로 분석된다. 박 대통령은 설 연휴 전 여론전을 사실상 포기하는 대신 법률적인 수단으로 자신을 방어하기로 한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은 헌재 변론에 직접 출석해 자신의 입장을 밝히는 방안도 적극 검토하고 있다.

탄핵심판과는 별개로 박 대통령 측은 명예회복 차원에서라도 언론 보도에 대해 법적 대응해 나갈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오보에 책임지지 않는 한국 언론이 얼마나 무책임한 보도를 쏟아냈는지 모른다”며 “명백한 허위 보도와 의도적인 악성 보도에 대해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맹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