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갤노트7 발화 원인 발표 “배터리 결함 탓…8가지 배터리 검사 과정 도입”

갤노트7 발화 원인 발표 “배터리 결함 탓…8가지 배터리 검사 과정 도입”




삼성전자가 잇따른 발화 사고로 단종된 갤럭시노트7의 사고 원인을 배터리 결함으로 최종 결론 냈다.

향후 이 같은 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8가지 배터리 안전성 검사를 도입하고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구성하는 등의 재발 방지 대책도 발표했다. 23일 고동진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사장은 서울 서초사옥에서 “소비자 신뢰 회복을 위해 갤럭시노트7의 소손(燒損·불에 타서 부서짐) 원인을 철저하게 밝혀내고 완벽한 재발 방지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삼성전자는 제품이 단종된 직후부터 수개월간 완제품 20만대와 배터리 3만개로 대규모 충·방전 실험을 진행해왔다. 그 결과 갤럭시노트7에 채용된 두 종류의 배터리(삼성SDI, 중국 ATL)에서 각각 다른 원인으로 소손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고 사장은 “700여명의 연구원들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등 제품뿐 아니라 각각의 검증 단계와 제조·물류 등 전 공정 원점에서부터 총체적이고 깊이 있는 조사를 했다”며 “배터리 설계와 제조 공정상의 문제점을 제품 출시 전에 최종적으로 확인하고 제대로 검증하지 못한 것에 대해 책임을 통감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삼성전자는 이날 스마트폰 안전성 강화 대책도 발표했다.우선 8가지 배터리 검사 프로세스를 도입했다. 안전·내구성 검사, 외관 검사, X레이 검사, 해체 검사, 누액 감지(TVOC) 검사, 상온의 전압 변화 측정 검사, 충·방전 검사, 제품 출고 전 소비자의 사용 환경을 가정한 가속 시험 등이다.

또 스마트폰 내부에 배터리를 끼우는 공간을 여유 있게 확보하고, 배터리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치를 추가로 적용하는 동시에 배터리 안전 설계 기준을 높였다. 충전 온도와 속도, 전류량 등을 조절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기능을 강화했다.

[사진=연합뉴스]

전종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