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드론과 지상스캐너를 활용한 산림자원조사 본격 시동

국립산림과학원, 3차원 영상 스캐닝 시연회 개최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이 드론(무인항공기), 지상스캐너 등 첨단 ICT 장비를 활용한 산림자원 조사·분석에 본격 나섰다.

국립산림과학원은 24일 수원시 산림유전자원부 클론보존원에서 ‘임목 생육특성 조사를 위한 3차원 영상 스캐닝 시연회’를 갖고 이 기술을 올해부터 유전체 육종 연구를 위한 소나무 차대검정림의 생육특성 조사에 활용할 계획이라고 25일 밝혔다.


현재 산림자원의 생육특성을 조사·분석하기 위해서는 사람이 직접 숲 속에서 나무의 수고와 흉고직경을 측정해 자료를 수집하고 있다. 산림지역의 특성상 조사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필요하고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존재하여 대규모의 산림지역을 대상으로 정확한 조사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지난해 드론과 지상스캐너 등을 활용하여 적은 인력과 시간으로 조사의 정확성을 높이는 3차원 이미지 분석기술을 개발했다.


드론이 숲의 상공을 촬영한 자료와 지상스캐너가 숲속 내부를 스캔해 얻은 자료를 융합하면 조사가 이루어진 숲속의 모습을 입체적으로 시각화하여 구현할 수 있다.

관련기사



이렇게 구현된 3차원 정보를 이용하면 각 나무의 높이와 지름, 나무 사이의 거리를 95% 이상의 신뢰도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국립산림과학원 임목육종과와 산림산업연구과 자원정보팀은 3차원 이미지 분석기술의 현장 적용을 통해 대규모 시험림 관리와 생장조사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립산림과학원 임목육종과 심동환 박사는 “최근 임목 육종기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임목유전체 정보를 육종에 활용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며 “이번 시연회는 ICT 장비를 활용한 시험림 관리와 산림과학연구 적용의 최초 사례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고 말했다.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