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셰일가스 이어 항공기·부품까지..미국산 수입 늘린다

2017년 대외경제정책방향

양자 FTA 중심 통상 로드맵 3월 발표

정부가 셰일가스에 이어 미국산 항공기·부품 수입을 늘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를 표방한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 출범에 따라 대미 경상수지 흑자를 줄이고 환율조작국 지정, 수입규제 등을 피하려는 조치다.

정부는 2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대외경제장관회의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의 ‘2017년 대외경제정책 방향’을 확정했다.정부는 우선 미국 신정부의 보호무역주의 강화 움직임에 대응하기 위해 양자협의 채널을 이른 시일 내에 가동하고 필요할 경우 범부처 대표단을 보내 통상·투자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매년 280만 톤 규모로 수입하기로 한 셰일가스 외에 미국이 강점을 가진 항공기와 반도체부품 등 산업용 기기와 수송장비 수입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 결정 이후 비관세장벽을 높이고 있는 중국에는 한중 경제장관회의 등 양자채널과 함께 세계무역기구(WTO)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대응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이와 함께 다자간무역협정(Mega FTA) 퇴조 등 통상질서 변화에 따라 기존 통상 로드맵을 양자 FTA 중심으로 보완해 오는 3월 중 발표하고 350억달러 규모의 해외 인프라 수주에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국내 외국인 투자 확대를 유도하기 위해 업종별 투자비율을 조정하고 세제혜택을 주는 등 진입장벽을 낮추는 방안도 상반기 중 마련한다. 또 올해 1개 이상의 서비스형 외국인투자지역을 추가 지정하기로 했다.

/세종=김정곤기자 mckids@sedaily.com

김정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