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제도

"역세권 청년주택 NO" 인근 주민 아우성

"교통난 심화되고 조망권 침해"

화곡동·삼각지·광흥창역 주변

착공 소식 알려지자 반발 거세

市 "차량보유 제한 등 대책 마련

되레 청년 유입돼 지역발전 도움"

역세권2030청년주택1호가 들어설 지하철4·6호선 삼각지역 근처에 청년주택 건설을 반대하는 플래카드가 걸려 있다. /박경훈기자역세권2030청년주택1호가 들어설 지하철4·6호선 삼각지역 근처에 청년주택 건설을 반대하는 플래카드가 걸려 있다. /박경훈기자




서울시가 청년 주거난 해소와 지역발전을 목표로 내세우며 추진 중인 역세권2030청년주택(이하 청년주택) 사업이 교통문제, 주거환경 악화 등을 우려하는 지역 주민들의 반발에 부딪히고 있다.

26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최근 지하철 5호선 우장산역 근처 아파트 단지 주민들은 은성교회 부지(강서구 화곡3동 1013-3)에 청년주택이 2월 사업신청에 이어 4월께 착공에 들어간다는 소식을 공유하면서 의견 수렴에 나서고 있다. 화곡동 청년주택은 전용면적 23~42㎡ 420가구 규모로 지어질 예정이다. 주민들은 소규모 임대가구들로 구성된 청년주택이 들어설 경우 예상되는 주요 문제점으로 지역의 주거환경 악화, 주차공간 부족에 따른 교통혼잡 문제를 지목하고 있다.


지하철4·6호선 삼각지역 근처인 용산구 한강로2가에서 4월부터 입주자 1,086가구 모집이 시작되는 청년주택1호 주변 아파트 단지 주민들은 “이미 도로 교통이 원활하지 않은 삼각지역 인근에 청년주택이 들어서면 교통난이 더 심화될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서울시에 남영역-용산역 사이 폭 20m 도로 개설 등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관련기사



지하철5호선 광흥창역 근처에서도 지난해 말 창전1재개발구역의 마포웨스트리버태영데시앙 청약 접수에 앞서 이랜드리테일 사옥 부지(마포구 창전동19-8)에 청년주택이 들어선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창전1재개발조합이 사실관계 확인에 나섰다. 청년주택 건물이 들어설 경우 조망권 침해, 주차난 등의 문제들이 예상돼 청약 접수에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었다. 이랜드가 “청년주택 사업에 대한 검토를 진행했으나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고 해명하면서 논란은 일단 잠잠해진 분위기다.

서울시는 청년주택 입지가 대중교통 중심지인 역세권이기 때문에 개인 차량 이용이 필요 없고 입주자의 차량 보유 제한, 해당 지역 도로 확충 등의 대책을 마련하고 있어 주민들이 우려하는 교통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은 낮다는 입장이다. 오히려 청년주택 부지에 함께 들어서는 주민 편의시설과 경제 활동이 활발한 청년층의 유입이 해당 지역 발전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청년주택1호는 주차장 없이 짓는 방안을 검토했지만 관련 법에 따라 주차장 설치가 의무화돼 있어 최소 규모의 주차장을 마련하게 됐다”며 “입주 이후에도 차량 보유를 제한하고 불법 주차는 엄격히 단속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