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단독]③소비 부진? 부자에겐 남의 나라 이야기

작년 3분기까지 소득 상위 10%, 월평균 466만원 지출...4% 증가...전체 소비 증가율 0.4% 웃돌아

월 400만원 이상 쓰는 가구 비중 10%...3분기 기준 역대 2번째로 높아

소득 500만원 이상 CSI 111...기준선 100 훌쩍

“부자들이 국내서 돈 쓰게 프리미엄 서비스, 개소세 등 정비해 경기 회복 물꼬 터야”

#국내 굴지의 한 로펌에 다니는 50대 A씨는 스시가 먹고 싶을 때면 수시로 일본에 간다. 연봉이 수억원이지만 자녀가 없는 A씨는 주말을 이용해 한 달에 2~3번은 아내와 도쿄를 찾아 1박 2일, 혹은 2박 3일을 지내고 온다. 일본에서 숙박을 하지 않고 고급 음식만 먹은 후 볼일만 보고 돌아오는 경우도 종종 있다. 한 번 가면 비행기 비용, 고급 호텔 숙박비, 쇼핑비용 등 수백만원을 쓰고 온다.

우리나라 전체 소비가 짓눌리고 있지만 부호들의 씀씀이는 꾸준히 늘고 있다. 최근 유가 상승, 시중금리 오름세, 소비심리 악화 등으로 전반적인 소비가 위축되고 있지만 고소득층만은 무풍지대다. 전문가들은 이들이 해외가 아닌 국내에서 돈을 쓰는 환경을 만들어 경기 회복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28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3·4분기까지 소득 상위 10% 가정(전국 2인 이상 기준)은 한 달 평균 465만 6,000원을 썼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4.0%(명목 기준) 증가했다. 반면 전체 가정의 소비액은 258만 1,000원으로 0.4% 증가에 그쳤다. 소득 하위 10% 가정은 108만 4,000원을 써 지난해보다 오히려 0.4% 줄었다.


한 달에 400만원 이상씩 쓰는 가정 비율도 역대 두 번째로 많은 상황이다. 소비 통계 상 최고 구간인 한 달에 400만원 이상 쓰는 가정의 비중은 3·4분기 현재 9.9%로 2003년 관련 통계가 작성된 이후 3·4분기 기준으로 두 번째로 높았다. 최고 기록은 2012년의 9.91%다. 반면 한 달에 100만원도 안 쓰는 가구는 13.01%로 금융위기 이후(2009년 3·4분기 14.04%) 이후 가장 높았다.

관련기사



이는 갈수록 벌어지는 빈부격차에 의한 결과라는 지적이다. 부유층은 전세의 월세 전환 가속화, 부동산 가격 상승 등으로 소득이 비교적 빠르게 늘며 해외에서든 국내에서든 씀씀이를 줄이지 않고 있다. 반면 최근 거세지는 구조조정으로 일용직 근로자의 실업이 늘고 있으며 자영업자 업황도 급격히 얼어붙어 저소득층은 돈을 쓸 여유가 없는 실정이다. 빈부격차를 보여주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지난해 3·4분기 현재 4.81배로 지난해 같은 기간(4.46배)보다 올랐다. 지표는 수치가 높을수록 빈부격차가 커진다는 의미다. 3·4분기 기준으로 2013년(5.05배) 이후 3년 만에 가장 높았다.

소득별소비증감률


현재 부유층 소비심리만은 활활 타오르고 있다. 한국은행의 소비자심리지수(CSI) 중 월소득 500만원 이상 계층을 분석한 결과 소비지출 전망 CSI는 지난해 11월까지 평균 111포인트로 기준선인 100을 훌쩍 넘었다. 지수는 100포인트를 넘으면 돈을 쓰는데 긍정적인 가정이 많다는 뜻이다. 이에 반해 월 소득 100만원 미만 가정은 95포인트로 기준선인 100포인트에 못 미쳤다. 양측의 격차는 지난해 16포인트로 2012년 10포인트를 기록한 이후 꾸준히 늘고 있다. ‘소비 양극화’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는 의미다.

정부의 한 고위 관계자는 “소비가 짓눌리고 있다고 하지만 부유층은 소비를 할 여력이 있고 실제 하고 있다”며 “결국 이들이 해외가 아닌, 국내에서 돈을 쓰게 해야 경기회복의 물꼬를 틀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부유층의 국내 소비 확대→기업 매출 증가→취약계층 고용 및 투자 확대→경기 전반 회복의 선순환을 구축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그러나 이 관계자는 “부호들의 지갑을 열 수 있는 각종 프리미엄 서비스, 사치재에 붙는 개별소비세 축소 등의 정책을 펴려고 해도 중산층을 중심으로 ‘위화감을 조성한다’는 여론이 만만치 않아 정책 입안에 차질을 빚고 있다”며 “그 사이 이들은 계속 해외에서 돈을 쓰면서 국내 경제는 하방압력을 받는 상황”이라고 아쉬워했다.

/세종=이태규기자 classic@sedaily.com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