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문래·성수동 '소공인 메카' 만든다

중기청 4개 지역 지정 지원 나서

인프라 구축 등 2,300개사 혜택

충북 청주의 인쇄출판집적지구 등 국내 4개 지역이 도시형 소공인 집적지구로 지정된다. 중기청은 이들 집적지구에 공동장비와 공동작업장 등 인프라를 구축해 2,300여개사의 소공인을 지원하게 된다.

중기청은 5일 청주 인쇄출판집적지를 비롯해 문래 기계금속 집적지와 종로 주얼리 집적지, 성수동 수제화 집적지 등 4곳을 도시형 소공인 집적지구로 지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지구 지정은 도시형소공인 발전기반 조성을 위한 ‘도시형 소공인 집적지구 제도’가 지난 2015년 5월 도입된 이후 처음으로 이뤄진 것이다.


집적지구로 지정되면 공동장비와 공동작업장 등 인프라 구축과 정책금융 우대, 소공인 특화센터 설치 등 다양한 정책지원이 뒷받침된다. 중기청의 한 관계자는 “이번에 최초로 지정된 4개 집적지구에는 소공인 2,300개사가 모여 있어 직접적인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며 “공동인프라 신규 구축에 국비 65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충북 청주의 경우 3D 패키징 고속 커팅기와 디지털 프레스와 같은 첨단장비를 갖춘 ‘인쇄 산업지원센터’가 구축되고 인쇄거리 활성화를 위한 도로정비와 공용주차장 신설 등 환경 개선 사업도 병행될 예정이다.

주영섭 중소기업청장은 “4차 산업혁명이 몰고 온 제조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다품종 소량생산으로 전환되는 신산업생태계 내에서도 제조업의 뿌리인 소공인 역할이 중요하다”며 “이를 위해 ICT와 소공인의 결합을 촉진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소공인이 국내 시장을 넘어 수출과 해외 비즈니스 확대를 통해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자체와 협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김상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