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경제인연합회가 해체되면 일본 게이단렌 파트너가 사라지는 거예요. 우리 기업들이 사업에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지난 2004년부터 2007년까지 전경련 회장을 지낸 강신호(사진) 동아쏘시오그룹 명예회장의 최근 걱정이다. 1927년생인 강 명예회장은 고령에도 지난해 전경련 총회와 이사회에 참석했다. 여전히 전경련에 관심과 애착을 갖고 있다.
그런 강 명예회장이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 이후 빗발치고 있는 전경련 해체 요구에 공과를 함께 봐달라며 안타까워했다. 지난해 12월 열린 ‘최순실 등 민간인에 의한 국정농단 의혹사건’ 청문회에서 전경련 해체 얘기가 나온 후 이달 7일에는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 “전경련의 관리·감독 주무관청인 산업통상자원부는 전경련을 해체하라”고 주장했다. 이미 삼성과 SK·LG가 전경련을 떠났다. 이런 상황에서 강 명예회장이 “전경련의 지금까지의 공과를 함께 봐야 하고 해외 네트워크는 한 번 잃어버리면 복구가 쉽지 않다”고 하소연 것이다.
재계의 한 고위관계자는 8일 “강 명예회장은 최근 사태와 관련해 전경련이 정치적인 문제가 되고 있지만 과거 국가 경제발전에 기여한 것도 많았다고 한다”며 “안팎의 전경련 해체 요구에 걱정이 많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강 명예회장은 우리나라 기업들의 경우 일본 업체들과 만나 신사업을 한 것이 많은데 전경련이 없어지면 일본 게이단렌의 파트너가 사라져 함께할 수 있는 부분이 사라지는 게 문제라고 하더라”고 덧붙였다. 게이단렌은 일본 경제단체연합회로 우리의 전경련 격이다. 강 명예회장은 일본 사례를 통해 해외 진출에 적극 나서야 하는데 아직 해외 네트워크가 취약한 중견기업의 어려움이 특히 크다는 점을 우려했다.
실제 전경련은 장기간에 걸쳐 해외 네트워크를 촘촘히 구축해왔다. 일본 게이단렌과는 매년 양국 기업인이 참가하는 한일 재계회의를 열고 있다. 지난해 서울에서 열린 26회 회의에는 허창수 회장을 비롯해 국내 기업인 18명, 일본은 사카키바라 사다유키 회장과 18명의 업계 대표가 참석했다. 이 자리를 통해 매년 양국 재계 관계자들이 만나 공동 사업 기회를 모색하고 협력 확대 방안 등을 협의한다. 2015년에는 두 단체가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양국의 통화 스와프 재개 방안을 논의했다.
특히 한국의 주력 수출산업인 반도체의 경우 포토 장비 같은 주요 설비의 대부분을 일본 기업에서 들여오고 있고 소니는 새로 나올 삼성전자 스마트폰 ‘갤럭시S8’에 배터리를 납품할 가능성이 높다. 또 SK하이닉스는 낸드플래시 분야 강화를 목표로 도시바 메모리반도체 분야 지분 인수에 나섰다. 양국 기업은 이제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고 전경련과 게이단렌이 가교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이 강 명예회장의 생각인 셈이다. 임상혁 전경련 전무는 “강 명예회장의 발언은 전경련 해체 시 국내 기업들의 대외협상 창구가 없어지는 문제를 짚었다고 본다”며 “일본도 그렇고 통상압력을 높이고 있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정부의 요구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주요 대기업으로 구성된 경제단체의 중요성을 언급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재계에서는 전경련이 ‘수금 창구’가 돼 정경유착의 끈을 유지해온 지금과 같은 구조는 반드시 개혁돼야 한다고 보면서도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 문제에 따른 중국의 한류 금지령과 미국 트럼프 정부의 통상압력에 경제단체의 필요성을 동시에 느끼고 있다. 주요 그룹의 전경련 탈퇴에도 롯데를 비롯한 나머지 그룹은 잔류 카드를 포함해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 전경련 해체보다는 현재처럼 회원사 중심이 아닌 업종별 대표가 주도하는 게이단렌 식으로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최근 들어 나온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정경유착의 고리를 이번 기회에 끊어야 하고 전경련도 뼈를 깎는 혁신을 해야 한다”면서도 “그동안 쌓아온 해외 네트워크를 대체하거나 이을 대안도 없이 단체를 없애게 되면 잃는 것이 많을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김영필·김경미기자 susopa@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