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물리·BT의 만남 ‘DGIST 바이오·자성 글로벌융합센터’ 출범

10일 개소식, 스핀트로닉스 기반 바이오 융합 신기술 개발

바이오 의료진단 및 치료소자 기술개발 기대

DGIST가 스핀 물질과 소자를 기반으로 바이오 의료진단 및 치료기술, 고효율 생체 모방형 소자 등 새로운 형태의 바이오 융합 신기술 개발에 나선다.

DGIST는 10일 연구행정동 국제회의장에서 스핀트로닉스 및 바이오테크놀로지 분야 국내·외 전문가 등이 참석한 가운데 ‘바이오·자성 글로벌융합센터’ 개소식을 갖는다.


스핀트로닉스(Spintronics)는 전자의 자기적 특성을 의미하는 스핀(Spin)과 전자공학(Electronics)을 합성한 말로, 전자 고유의 자기적 특성을 이용해 전자를 제어하는 차세대 전자공학 분야다. 스핀트로닉스 기술을 이용한 하드디스크의 비약적인 용량 증가는 일상생활과 산업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다. 최근에는 기존 메모리 보다 성능이 뛰어난 비휘발성 자기메모리(MRAM) 등 스핀트로닉스를 응용한 다양한 소자들이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

관련기사



센터는 앞으로 스핀 물질과 소자를 응용한 바이오 의료진단 및 치료기술 개발, 스핀트로닉스 기반 창의적 생체 모방형 소자 개발, 스핀 동력학 이미징 측정·분석 등 스핀트로닉스와 바이오 기술을 융합한 새로운 연구 분야를 개척한다.

이번 바이오·자성 글로벌융합센터는 미래창조과학부 주관 사업에 선정돼 5년간 약 125억원의 사업비를 지원받는다. 대학원 전임 교원 10명과 융합연구원 소속 연구원 5명이 KAIST·서울대·고려대 등 국내 최고 수준의 6개 연구팀과 함께 공동연구를 수행한다.

김철기 DGIST 바이오·자성 글로벌융합센터장은 “정보저장 기술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온 스핀트로닉스 기술이 현재 기술적 한계에 처한 상황”이라며 “센터 개소에 따라 물리학과 바이오 기술의 융합을 기반으로 새로운 연구 분야를 개척해 나가겠다”고 말했다./대구=손성락기자 ssr@sedaily.com

손성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