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부산항 컨테이너 정기서비스, 개항 이래 최대인 531개로 증가

2016년보다 13% 늘어

글로벌 허브 포트로서의 위상 입증

부산항의 정기서비스가 개항 이래 최대 수치를 기록했다. 부산항만공사(BPA)는 최근 부산항 컨테이너 선(船) 정기서비스 현황 조사 결과, 부산항의 정기서비스가 전년도 468개에서 부산항 개항 이래 최대인 531개로 63개 증가해 전년대비 13% 늘어났다고 9일 밝혔다. 조사 대상은 지난 1월 한달 동안 부산항에서 연간 1,000 TEU 이상을 처리한 국내·외 45개 선사다.


서비스 증가는 한진해운 원양 네트워크를 대신해 현대상선과 주요 외국적 선사의 서비스 증가, 국적 Intra-Asia(아시아 역내 운항) 선사들의 베트남을 비롯한 아시아 역내 서비스 확대, 또한 지난 2016년 6월 확장 개통한 파나마운하의 영향으로 글로벌 선사들의 북미동안 서비스도 전년대비 50% 증가한 것에 기인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선박 규모 면에서도 10만톤급 이상 서비스 노선은 전년대비 8%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18만톤급 이상 초대형 컨테이너선박이 투입된 서비스도 28% 늘어나 부산항이 글로벌 메가포트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국적별 서비스 증가를 보면 국적 선사는 17% 증가해 외국적 선사 증가율 11%를 크게 웃돌았으나, 외국적 선사의 비중이 전체의 58%를 차지해 국적선사의 서비스를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지역별 분포로는 동남아시아가 2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 북미, 일본, 중국, 남미, 유럽, 중동, 대양주, 러시아, 아프리카 순으로 나타났다. 우예종 BPA 사장은 “한진해운 사태로 인해 부산항 기항 서비스 개수가 감소할 것이라는 일각에서의 우려가 있었으나, 부산항의 지리적 이점과 높은 터미널 생산성 등의 경쟁력이 서비스 증가에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며 “올해 목표인 2,000만 TEU를 달성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고 말했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