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경기연구원, 해외 우수인력 유치전략 필요

장기체류 외국인 30% 이상 경기도 체류…치안 등 부정적 인식 확산

국내 체류 이민자가 200만 명을 돌파한 가운데 해외 우수인력을 유치하는 이민정책을 마련하고 통합적 이민관리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9일 이런 내용을 담은‘이민자 200만 시대, 이민정책의 방향은?’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저출산·고령화의 대안으로 정부가 추진 중인 ‘포용적 이민정책’에 대해 전문·숙련인력 이민자 수용을 강조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단순 노동하는 이민자가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이 때문에 일자리 감소·임금 하락, 지역사회 치안 문제, 복지지출 등 사회적 비용 증가 등 부정적 인식이 확산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국내 이민정책의 문제점으로는 이민자 증가에 따른 경제·사회적 비용에 대한 고려 부족, 이민정책의 통합관리조직 부재, 부처별 법·제도 간 연계 미흡 등을 꼽혔다.

최석현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국내 이민정책의 발전방향으로 △선별적 이민정책 기조 강화 △통합적 이민관리 체계 구축 △갈등 관리적 이민정책 강화를 제시했다.


선별적 이민정책은 국내 노동시장 여건과 경제적 필요성을 우선 고려해 단순 노동력 유입을 제한하고 전문 인력 유입을 유도하는 것을 말한다.

관련기사



최 연구위원은 “특히 경기도는 해외 전문인력 비중이 현저히 낮아 경기도 차원의 해외 우수 인재 유치 전략의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라며 “2015년 말 기준 경기도 내 등록된 외국인 36만9,665명 중 전문 인력은 2.9%인 1만777명에 불과한 반면 단순기능 인력은 22만1,083명으로 59.8%을 차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우수한 기술과 아이디어를 가진 해외 우수 인재가 도내에서 창업한다면 도내 청년들에게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라며 “경기도 차원의 관련 조직을 설치하고 해외 인재를 대상으로 한 창업 인큐베이팅 프로그램을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이민자 유입과 지역발전이 선 순환적 관계를 갖기 위해서는 이민정책 결정에서 지방정부의 목소리가 반영될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이 이뤄져야 한다고 제언했다.

최 연구위원은 “이민자들의 지역사회 적응과 노동시장에서 내국인 보호를 위해 독립적인 재원을 마련하고 재원 운영에 지방정부가 참여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