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김무성, '보수 구원투수'위한 중대결심할까

김무성 재등판 요구 점차 커져

불출마 뒤집을 명분 약해 '빅텐트'로 기회 엿볼 듯

김무성 "현재로서는 불출마 변화 없다"며 여지 둬

박지원(왼쪽) 국민의당 대표와 김무성 바른정당 의원이 지난 9일 오후 국회 본회의장에서 나와 긴밀히 얘기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박지원(왼쪽) 국민의당 대표와 김무성 바른정당 의원이 지난 9일 오후 국회 본회의장에서 나와 긴밀히 얘기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범보수 세력을 중심으로 ‘김무성 역할론’이 점차 확산하고 있다. 바른정당의 어른으로서 당의 구원투수가 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대선 국면에서 당 존재감을 높이기 위해 서둘러 재등판해야 한다는 요구도 점점 커지고 있다. 하지만 이미 불출마를 선언한 만큼 이를 당장 뒤집기보다 ‘문재인 대세론’을 흔들기 위한 ‘빅텐트’ 불씨 살리기에 주력할 수 있다. 이후 여론의 추이를 지켜보고 대선판을 흔들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올 때 중대 결심을 할 수 있다.


바른정당 사무총장이자 김무성 의원의 핵심 측근인 김성태 의원은 10일 대연정에 대해 “어떤 경우에도 진영을 가리지 않겠다. 패권 논리를 넘어서겠다”고 말했다. 김성태 의원은 사무총장 취임 이후부터 줄곧 ‘연정·연합’ 메시지를 내고 있다.

관련기사



김무성 의원의 또 다른 측근인 강석호 새누리당 의원 탈당설도 다시 불거지기 시작했다. 2차 탈당 러시를 만들기 위해 새누리당에 남았던 강 의원이 움직이자 김무성 의원의 중대 결심이 임박했다는 관측이 나온다.

김무성 재등판론은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의 불출마로 깜짝 후보가 필요하다며 제기됐다. 더욱이 최근 당 지지도가 정의당에 밀리며 위기감도 커지고 있다. 김무성 의원은 자신의 출마 가능성에 대해 “현재로서는 제 마음의 변화가 없다”면서도 조건을 달아 상황을 지켜본 뒤 최종 결정하겠다며 여지를 남겼다.

하지만 최순실 국정 농단 사태를 책임지겠다며 불출마한 만큼 재등판 명분이 약해 쉽게 결정할 수 없는 상황이다. 또 탄핵 국면이 막바지로 가고 있어 자칫 보수층의 이탈 우려도 있다. 이 때문에 국민의당과의 중도 빅텐트를 진행해 대선판의 추이를 지켜본 뒤 차기 전략을 펼칠 가능성이 높다.

류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