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출렁이는 환율-갈길잃은 시장]약달러·반세계화·北미사일...'칵테일 충격'속 짙어진 환율 戰雲

<4>통화전쟁 더 빨라지나

트럼프 "평평한 운동장" 선언...전쟁 방아쇠 당겨

한국 외환당국은 손발 묶여 원·달러 환율 널뛰기

'제2 플라자합의'로 이어지면 변동폭 더 커질듯



13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 대비 1원50전 내린 1,149원50전에 거래를 시작했다. 지난 12일 북한이 ‘북극성 3호’ 미사일을 발사하면서 지정학적 리스크가 불거진 것을 감안하면 정반대 방향이다. 예측과 어긋난 셈이다. 원·달러 환율을 끌어내린 것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발언이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주 말 아베 신조 총리와의 미일 정상회담이 끝난 뒤 기자회견을 통해 중국 등의 자국 통화 평가절하와 관련해 “나는 우리가 평평한 운동장에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자국 통화가치의 약세를 등에 업고 미국의 고질적 병폐인 무역적자를 심화시키는 국가에 환율 조작이라는 멍에를 뒤집어씌우는 것을 넘어 노골적으로 달러화 가치도 떨어뜨리겠다는 선언을 한 것이다. 정상회담을 앞두고 101.01까지 치솟았던 달러인덱스(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화 가치)도 트럼프의 발언 이후 100.58까지 밀렸다.

◇환율전쟁 더 빨라질 듯=트럼프 대통령의 환율전쟁 개시 의지가 더욱 노골화하고 있다. 대미 무역 흑자국의 환율조작국 지정 카드 언급에 이어 이번에는 기조적인 약(弱)달러 추세를 이어가겠다는 ‘평평한 운동장’론을 내걸었다. 강(强)달러에서 약을 오가는 트럼프 행정부의 종잡을 수 없는 정책 방향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하드’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Brexit)와 프렉시트(프랑스의 유럽연합 탈퇴, Frexit) 등 반세계화, 북한의 미사일 발사, 전통적 지정학적 리스크까지 여러 악재가 동시다발적으로 뒤섞인 ‘칵테일 충격’이 우리 외환시장을 덮치는 형국이다. 뚜렷한 방향성 없이 출렁이는 환율 탓에 전 세계적인 교역 회복세를 등에 업고 수출 반등을 이끌어야 할 수출 기업도 더욱 몸을 움츠릴 것으로 전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1월 “달러화가 너무 강하다”며 환율전쟁의 서막을 열었다. 이후 이달 1일(현지시간)에는 “수년간 중국과 일본은 (자국 통화가치의) 평가절하로 시장을 갖고 놀지만 우리는 바보들처럼 가만히 앉아만 있었다”며 전통적인 대미무역 흑자국가를 겨냥해 직접적인 환율전쟁 선전포고를 했다. 외환시장에서는 이 같은 트럼프 대통령의 환율전쟁 개시 의지가 더욱 노골화하면서 환율전쟁 발발 분위기도 무르익었다고 판단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 같은 분위기가 ‘제2의 플라자합의’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내놓는다. 1985년 미국 달러화가 지나치게 강세를 보이자 미국·영국·독일·프랑스·일본 재무장관은 플라자합의를 맺었다. 이후 엔화는 2년간 66%, 마르크화는 57% 절상된 바 있다.

관련기사



◇원·달러 환율, 출렁이는 폭 왜 크나=원·달러 환율은 유독 출렁임이 크다. 국제통화기금(IMF)은 달러화나 엔화, 유로화, 호주 달러화 등 외환당국의 개입 없이 시장에서 가격이 자유롭게 결정되는 기축통화 국가를 ‘자유변동환율제’로, 미세조정(스무딩 오퍼레이션)을 통해 외부 충격을 줄이는 우리나라 등을 ‘변동환율제’로 구분하고 있다. 하지만 무르익는 환율전쟁 분위기 속에서 외부 충격을 줄여야 하는 외환당국의 손발이 묶이면서 원·달러 환율이 기축통화만큼 큰 변동성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브렉시트와 프렉시트 위기 고조 등 대외 리스크가 점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제2의 플라자합의로까지 치닫는 등 악재가 더 겹칠 경우 경우 원·달러 환율의 변동 폭도 더욱 커질 수 있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지금은 신호가 혼재돼 있어 시장에서 어떤 요인을 강하게 보느냐의 기조가 바뀌면서 환율 변동폭도 커지고 있다”며 “우리나라 환율정책의 운신 폭이 급격히 줄었지만 스무딩 오퍼레이션은 IMF에서도 허용하고 있는 만큼 시장 안정 목적을 위해 적절히 쓸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김상훈·구경우기자 ksh25th@sedaily.com

김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