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그룹이 지난 1938년 설립 이후 처음으로 오너가 구속되는 초유의 위기를 맞았다. 오너십이 완벽히 부재하는 상황은 삼성 입장에서는 한번도 겪어보지 못한 경영 환경이다. 삼성 관계자는 “이 부회장의 공백에 대비한 비상체제에 대해 가늠하기조차 힘들다”며 “그야말로 카오스(혼돈)”라고 말했다.
당장 미래전략실 해체 등 ‘삼성 쇄신안’에 브레이크가 걸리는 것을 비롯해 삼성 지배구조 개편 이슈도 장기간 표류할 것으로 전망된다. 초유의 비상 상황 속에서 그나마 현실성 있는 삼성의 모습은 계열사 사장단이 꾸리는 협의체가 전면에 나서는 것이다. 물론 오너가 없는 상황에서 사장단협의체는 현상만 지킬 뿐 장기적 투자나 대규모 구조개편은 불가능하다.
◇2008년 사장단협의체 재등장하나=삼성은 전문경영인으로 구성한 사장단협의체를 잠시 운영한 전례가 있다. 2008년 조준웅 특별검사팀의 삼성 비자금 의혹 수사 직후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경영 일선에서 물러났을 때다. 삼성은 당시 전략기획실(현 미래전략실)을 공식 해체하고 같은 해 7월2일 열린 수요사장단 회의부터 사장단협의체로 전환했다. 이 협의체는 의장인 이수빈 삼성생명 회장과 이윤우 삼성전자 부회장 등이 중심이 돼 그룹 주요 사안들을 결정했다. 사장단협의체 산하에는 ‘투자조정위원회’와 ‘브랜드관리위원회’ 등 비상설 기구를 뒀고 이듬해인 2009년 1월 ‘인사위원회’까지 추가돼 3개 위원회가 그룹 전체 의사결정을 조율했다. 이 체제는 이 회장이 공식 복귀한 2010년 3월까지 약 1년8개월 동안 유지됐다.
다만 사장단협의체가 구성된다고 해도 이를 이끌 멤버는 예측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그룹 전반에 대규모 인사 폭풍이 예상돼서다. 최지성 미전실장(부회장)과 장충기 미전실 차장(사장) 모두 사장단협의체 경험이 있지만 현재 뇌물공여 혐의를 받고 있는데다 오너 구속의 책임을 지고 물러날 가능성이 있다. 미전실 3인자인 김종중 전략팀장(사장)도 비상경영 기간 전략기획실을 형식적으로 대체했던 ‘업무지원실’ 실장을 담당한 적이 있지만 김 사장 역시 ‘공정위 특혜’ 의혹으로 특검 수사를 받는 상태다.
결국 권오현 삼성전자 부회장과 윤부근·신종균 사장을 포함한 전자 계열사 대표 등이 주요 결정에 관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일각에서는 삼성가 장녀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의 등장도 예상하지만 ‘관련 경험 부족’을 이유로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평가가 많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이부진 사장은 삼성전자 지분이 없고 전자·금융 계열사 지휘 경험도 없어 비현실적”이라며 “이 부회장의 어머니인 홍라희 삼성미술관 리움 관장 역시 전면에 나서기는 곤란해 보인다”고 전했다.
◇투자·지주사 전환 올스톱…빨간불 켜진 삼성의 미래=삼성이 사장단협의체 등 비상경영체제를 꾸린다 하더라도 현상을 유지하는 데 급급할 것으로 보인다. 이 부회장이 없는 이상 미래를 위한 대규모 투자나 체제 전환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과거 이건희 회장의 부재 속에서 삼성은 2007년 애플 아이폰의 등장으로 노키아·블랙베리의 전철을 밟을 뻔했다. 다행히 이 회장이 복귀한 다음 해인 2011년 갤럭시노트를 출시해 위기를 극복했지만 더 이상의 반전은 불가능하다는 게 업계의 평가다. 삼성의 한 최고경영자(CEO)는 “전문경영인이 수조원에 달하는 투자나 기업 인수에 나서기는 사실상 힘들다”며 “삼성그룹의 경영전략 수립에 먹구름이 드리우게 됐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특히 산업계는 이 부회장 없는 삼성이 스마트카, 인공지능(AI) 같은 차세대 사업에서 기회를 놓칠 수 있다는 우려를 내놓고 있다. 삼성전자가 지난해 80억달러(9조4,000억원)를 들여 인수를 결정한 미국 차량용 부품 기업 하만인더스트리는 올 3·4분기에 가서야 인수 작업이 완료될 예정이다. 합병에 반대하는 하만 주주 설득, 미국 정부기관의 승인 등 이 부회장이 직접 발로 뛰며 풀어내야 할 일들이 많다.
반도체 사업 확대 기회를 놓칠 가능성도 커졌다. 오너가 없는 상황에서 삼성전자 경영진은 통상적인 설비투자를 제외하면 대규모 신설투자, 인수합병(M&A)에 손을 대기 어렵다. 파운드리사업부 신설처럼 시스템반도체 경쟁력을 키우기 위한 조직개편도 당분간은 실천하기 어렵다.
정치권이 요구한 삼성의 지주회사 전환도 사실상 물 건너갔다. 설상가상으로 외국 헤지펀드가 무주공산의 삼성전자를 노리고 또다시 공격을 감행할 염려도 있다. 미국계 헤지펀드인 엘리엇매니지먼트는 2015년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을 반대한다는 명분을 앞세워 삼성 내 영향력 확대를 시도했다. 엘리엇은 이어 지난해 10월에도 삼성전자의 인적분할 등 지배구조 개선을 요구하며 삼성 경영진을 압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