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IB&Deal

주총 안건 산더미인데...짐 싸느라 정신없는 국민연금

25일부터 전주로 사옥 이전

정기주총 시즌과 겹쳐 진땀

의결권 행사 준비 소홀 우려







국민연금 기금본부 전주 완산구 신사옥국민연금 기금본부 전주 완산구 신사옥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가 주요 기업들의 정기 주주총회 개최가 임박하면서 진땀을 흘리고 있다. 주총시즌 처리할 안건이 산더미인데 사옥이전과 일정이 겹치며 의결권 행사 준비가 소홀하지 않겠냐는 우려가 나온다.


19일 국민연금에 따르면 서울 신사동에 위치한 국민연금 기금본부는 오는 25일부터 나흘 간 전북 전주시 덕진구의 전주 사옥으로 자리를 옮긴다. 기금본부는 당초 지난해 말 이전할 계획이었지만 사옥 건립이 지연되면서 이사 날짜가 이달 말로 늦춰졌다. 문제는 전주 이전 일정이 정기 주총 시즌과 겹쳤다는 점이다. 그동안 가뜩이나 제한된 인원으로 수백 곳 이상의 투자기업에 대한 주주총회 안건을 다뤄왔던 기금본부 입장에서는 시간과의 싸움을 벌여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관련기사



법인 기업은 상법상 회계연도가 끝난 후 3개월 이내에 주주총회를 열어 정관변경이나 이사·감사 선임, 배당, 지배구조 개편 등 회사의 주요 의사 결정에 대해 주주들로부터 동의를 받아야 한다. 국내 기업들은 대부분 회계연도가 연말에 끝나기 때문에 정기주총도 2월 말에서 3월 말 사이에 열린다. 하지만 주총 소집 2주 전에 주주들에게 주총 안건을 통지해야 하는 점을 고려하면 사실상 주총 시즌은 시작된 것과 다름 없다. 국민연금에 따르면 기금본부가 지난해 1~3월 의결권을 행사한 주주총회는 총 636곳으로 전체 투자기업(782곳의 )81.33%를 차지했으며 실제로 주총에서 찬성·반대·기권 등 의결권을 행사한 안건은 2,733건에 달한다. 기금본부 사정에 밝은 한 관계자는 “기금본부 내 의결권 행사를 전담하는 인원은 6명에 불과한데 올해는 전주 이전으로 업무에 집중할 시간은 더욱 줄어들 것”이라고 우려했다.

전주 이전을 완료하더라도 문제는 남는다. 배당과 지배구조 개편과 같은 안건은 해당 기업과 수시로 의견을 교환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해당 기업의 오너나 최고경영자(CEO), 최고재무책임자(CFO)들을 직접 만나야 하지만 전주 이전으로 제약이 생길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국민의 노후자금을 운용하는 국민연금이 제대로 된 의결권 행사를 위해선 투자 기업과의 대화는 꼭 필요한 업무”라면서 “전주 이전 후에 이를 어떻게 보완해 나갈지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기금본부 관계자는 “전주 이전 관련 우려를 잘 알고 있다”면서 “업무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전사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서민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