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식품 정보 알기 쉬워진다… 포장지 글자 키우고 상세 정보는 모바일 앱으로

포장지에는 꼭 필요한 사항만, 모바일 앱을 통해 다양한 정보 확인

시범사업 전(왼쪽)·후 표시사항 비교시범사업 전(왼쪽)·후 표시사항 비교


앞으로 식품 포장지에는 원재료, 유통기한, 내용량 및 열량 등 필수 정보만이 10포인트 이상의 큼직한 글씨로 기재될 전망이다. 식품 정보를 얻기 위해 포장지의 깨알 같은 글씨를 읽어야 하는 수고를 덜게 된 셈이다. 포장지에 다 못 적힌 정보들은 모바일 앱을 통해 제공될 전망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이 같은 내용의 시범사업을 올해 연말까지 실시한다고 20일 밝혔다. 대상 품목은 과자, 컵라면, 껌, 사탕, 빵, 드레싱, 고추장 등 11개 사가 생산하는 30개 제품이다. 이달 말부터 전국 대형마트와 편의점 등에서 해당 제품의 바뀐 식품표시를 확인할 수 있다.


시범사업에 따르면 제품명, 업소명, 유통기한, 내용량 및 열량, 주요 원재료(원산지), 품목 보고 번호 등 필수정보는 포장지에 표로 표시된다. 모든 표시는 소비자가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활자가 10포인트 이상이어야 한다. 그 밖의 자세한 식품 정보는 포장지에 표시된 바코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내손안(安) 식품안전정보’ 앱을 내려받아야 한다. 앱 메뉴 중 ‘유통바코드 조회’를 선택해 바코드를 인식시키면 업체 행정처분 내용, 회수 폐기 등 추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원료(성분) 항목을 누르면 네이버 지식백과로 연결돼 원재료와 관련된 설명을 더 볼 수 있다.

관련기사



식약처는 “글자 크기 10포인트 이상으로 식품 정보를 표로 제시하도록 하는 ‘식품 등의 표시기준’을 내년 1월 시행하기에 앞서 소비자 체감도를 분석하기 위해 시범사업을 한다”며 “국민건강과 식품산업에 바람직한 가공식품 표시방법을 고안하겠다”고 밝혔다.



김경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