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보행자 교통사고 줄인다"…'차량 빨간 불' 시간 늘린다

교통사고 사망자 중 보행자 비율 계속 증가해

밀집 구역, 횡단보도 녹색 불 횟수 1회에서 2회로 늘릴 방침

경찰은 증가하는 교통사고 사망자 중 보행자 비율을 줄이기 위해 ‘차량 빨간 불’ 시간과 ‘횡단보도 녹색 불’ 횟수을 늘리도록 교통신호 운영체계를 개선한다./연합뉴스경찰은 증가하는 교통사고 사망자 중 보행자 비율을 줄이기 위해 ‘차량 빨간 불’ 시간과 ‘횡단보도 녹색 불’ 횟수을 늘리도록 교통신호 운영체계를 개선한다./연합뉴스


경찰이 보행자 교통사고 방지를 위해 ‘차량 빨간 불’ 시간과 ‘횡단보도 녹색 불’ 횟수를 늘리기로 했다.

서울지방경찰청은 지난해 서울 지역 교통사고 사망자 중 보행자가 57.7%(345명 중 199명)를 기록했다고 21일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보행자 사망자 수는 2014년 220명, 2015년 213명, 지난해에는 199명으로 최근 3년 동안 감소세를 보였다. 하지만 전체 사망자 중 보행자의 비율은 2014년 55.1%, 2015년 57.3%, 2016년 57.7%로 계속 상승해왔다.

보행자 사망 비율이 늘어난 이유에 대해 경찰은 서울 인구는 감소 중인 추세임에 반해 자동차 수는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경찰에 따르면 서울 인구는 2014년 1,036만 9,000여명에서 2015년 1,029만 7,000여명으로 줄었지만 자동차 등록 대수는 2014년 301만 3,000여대에서 2015년 305만 6,000여대로 늘었다.

이에 경찰은 차량 빨간 불 시간과 횡단보도 녹색 불 횟수를 늘리는 방향으로 교통신호 운영체계를 개선하기로 했다.


빨간 불 시간은 1~3초 늘어날 계획이다. 주행 중인 자동차가 정지하지 못해 보행자를 치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교차로, 횡단보도를 비울 여유 시간을 더 두는 것이다.

관련기사



예를 들어 횡단보도가 있는 양방향 차도의 경우 차량 신호가 빨간 불로 바뀜과 동시에 횡단보도 녹색 신호가 켜지는 것이 아니라, 차량 신호가 몇 초간 빨간 불 상태로 유지된 다음 횡단보도 녹색 불이 켜지는 방식이다.

또한 경찰은 평소 보행 수요가 많아 자주 사람이 밀집하거나, 무단횡단이 잦은 곳을 파악해 횡단보도 녹색 불 횟수를 1회에서 2회로 늘린다.

보통 차량 주행 신호 한 번, 보행 신호 한 번이 교차하던 것과 달리, 차량 주행 신호가 한 번 켜진 이후 횡단보도 보행 신호는 두 번 켜지는 것이다. 이런 방식은 현재 716개소에서 시행 중이다.

경찰은 폭이 서로 다른 차도가 만나는 사거리의 경우 폭이 넓은 곳과 좁은 곳의 보행 신호 시간을 서로 달리해 보행에 편의를 더해 줄 방침이다.

예를 들어 7차로와 5차로가 만나는 사거리에서 양쪽 보행 신호 시간이 같을 경우 7차로를 건너는 보행자에게 부담이 있다고 판단해, 5차로의 신호 시간을 줄이고 그만큼 7차로에 신호 시간을 더 주는 것이다.

이외에도 경찰은 직진과 좌회전이 함께 있는 교차로에서 좌회전하는 차량이 별로 없을 때 좌회전 차량 신호를 자동 단축하거나 생략하는 ‘좌회전 감응기법’도 현행 69개소에서 20개소 추가한다.

/홍주환 인턴기자 thehong@sedaily.com

홍주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