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해양과학기술원, 고래 유전자 비밀 풀었다

이정현 박사 연구팀, 수중생활 적응 기여한 유전자 발견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은 고래가 바다의 수중생활에 적응하는데 기여한 유전자를 최초로 발견했다고 22일 밝혔다.

KIOST 이정현 박사 연구팀은 섬유아세포성장인자 유전자의 진화분석으로 고래가 바다의 수중생활에 적응하는데 기여한 유전자들을 발견했다.

인간 및 고래류와 같은 포유류는 섬유아세포성장인자 유전자 22종을 보유하고 있고 이들은 혈관형성, 상처치유, 배아발생, 세포분화, 신호전달, 대사조절기능 등 다양한 생리조절작용에 관여하고 있다.


연구진은 고래가 잠수해 저산소 상태가 되면 간에서 섬유아세포성장인자23의 발현을 유도해 낮은 골밀도를 유지하도록 진화했음을 밝혀냈다. 이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포유류에서 저산소증에 의해 섬유아세포성장인자23 유전자 발현이 조절될 수 있음을 증명해 저산소증과 관련된 인간 질병의 이해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주목받고 있다.

관련기사



이정현 박사는 “향후 해양생물이 오랜 세월 동안 바다 속에서 진화의 과정을 거쳐 획득한 다양한 특성에 연관된 유전자를 찾아 이를 이용하면, 인간 질병의 원인과 치료제 개발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KIOST 주요과제인 ‘해양·극한 유전자 신기능 발굴 및 활용기술개발’의 일환으로 진행됐고 융합과학 분야의 세계적 권위지인 사이언스 리포트(Scientific Reports) 2017년 1월호에 게재됐다.

/대전=박희윤기자 hypark@sedaily.com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