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는 “지난해 한 장관으로부터 ‘정부세종청사에 일주일에 보통 한 번 정도밖에 머물지 못한다’는 이야기를 들었다”고 입을 뗐다. 이어 “(다른 공무원들도 서울을 오가느라) 사정이 마찬가지일 텐데 그렇게 해서 부처, 부서 간 의사소통이 되겠느냐”며 “적어도 행정부와 입법부는 한꺼번에 모여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해법으로 두 가지 시나리오를 들었다. 첫째는 정부세종청사를 서울 등 수도권으로 되돌리고 세종 등 충청권은 기업중심도시로 발전시키는 방안, 둘째는 아예 청와대·국회까지 세종시로 옮겨오는 방안이다. 어느 방법이든 추가적인 대규모 비용이 초래되지만 현 상태를 유지하는 데 비하면 경제적·행정적 손실이 적다는 게 그의 판단이다. 정 이사장은 “다음 정부는 국민투표를 실시해 이 두 가지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해야 한다”며 “세종시는 더 이상 현재 방식으로는 안 된다”고 역설했다.
그의 또 다른 고민은 정치세력화다. 현재 국민의당·바른정당 등이 ‘제3지대론’ ‘빅텐트론’으로 참여해 연대하자는 제의를 하고 있지만 그는 이들 구상에 대해 “관심이 없다”고 못 박았다. 그는 다만 “저는 동반성장의 가치를 구현하고자 출마한 만큼 그런 사회를 만들고자 하는 정치세력과 함께하고 싶다”며 정치공학보다는 정책과 가치를 매개로 한 정치연대를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