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바둑 ‘알파고’ 이어… AI와 인간의 포커 대결 결과는?

‘딥스택’ 대전 결과 사이언스지 게재

"의학 치료·협상 등에 활용 가능성"

이미지투데이이미지투데이


인공지능(AI)이 바둑에 이어 수학적 계산이 더 까다로운 포커 게임에서도 인간 고수를 이긴 결과가 공개됐다.

캐나다 앨버타대·체코 프라하 카렐대·체코 공과대 연구진은 세계적인 과학 학술지 사이언스 3일자에 AI 포커 프로그램 ‘딥스택’(DeppStack)이 지난해 11월부터 12월까지 인간 도박사 11명을 눌렀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딥스택을 개발해 무작위로 카드와 베팅 금액을 설정한 뒤 1,000만여 건의 게임을 경험하도록 했다. 이어 국제포커연맹(IFP) 등의 도움을 받아 검증 절차를 거쳐 딥스택과 겨룰 전문 도박사들을 선정했다.


포커 게임의 승패는 플레이어가 각 게임에서 딴 돈을 평균적으로 계산한 단위인 ‘mbb/g’로 따졌다. 딥스택은 11명의 전문 도박사들을 모두 이겼다. 인간 중 가장 성적이 좋은 도박사도 딥스택은 70mbb/g의 차이로 눌렀다. 지난 2015년 최고의 컴퓨터 포커 프로그램으로 꼽힌 ‘클라우드코’가 전문 도박사 팀에 91mbb/g의 차이로 졌다는 점을 고려하면 불과 1년 6개월 만에 AI의 기량이 상당히 발전한 것이다.

관련기사



이번 포커 대전 결과는 구글의 ‘딥러닝’(심층학습) AI ‘알파고’가 지난해 이세돌 9단을 꺾은 것보다 놀라운 결과로 평가된다.

바둑은 대결자가 바둑판에 흑백 돌이 어떻게 놓여있는지 똑같이 알고 있는 ‘정보 대칭’ 게임이다. 반면 포커는 대결자가 자신만 볼 수 있는 카드를 쥐고 겨루는 ‘정보 비대칭’ 게임이어서 AI가 정복하기 어려운 영역으로 여겨졌다.

연구진은 논문에서 “포커처럼 불완전 정보 상태에서 결정을 내려야 하는 의학적 치료 권고, 전략적 협상 등에 딥스택 형태의 AI가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민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