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국내 기업의 중국 비즈니스 여건은 최악이다. 사드 부지를 제공한 롯데그룹의 경우 쇼핑사이트 징둥닷컴과 전자상거래 업체인 알리바바 쇼핑몰에서 롯데숍이 폐쇄된 데 이어 사탕을 비롯한 제품 통관까지 불허되는 등 전방위로 압박을 받고 있다. 현대자동차와 삼성전자 등 다른 기업들도 불매운동의 불똥이 어디까지 튈지 몰라 전전긍긍하고 있다. 소비자의 날인 15일에는 중국 TV의 한국 기업 때리기가 극에 달할 가능성도 있다. 여기에다 중국이 한국 관광상품 판매를 금지함에 따라 면세점과 호텔 등 관광산업 전반에 타격이 예상된다.
사정이 다급해지자 정부도 부랴부랴 대책 마련에 나섰다.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은 3일 서울 삼청동 총리공관에서 고위 당정협의를 열어 “중국과 소통을 강화하고 필요한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3~4월로 예정된 고위급 면담과 자유무역협정(FTA) 실무협의 채널을 통해 문제 제기를 할 방침이다. 한미 당국이 사드 배치를 공식 발표한 것이 지난해 7월8일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대응이 좀 늦은 감은 있지만 정부는 이제라도 대화채널을 총동원해 적극적으로 중국을 설득해야 한다. 사드가 북한 미사일에 대한 대응책이어서 중국에는 위협이 되지 않는다는 점을 논리적으로 설명하고 경제보복이 계속되면 현대차와 삼성전자 등 국내 기업들이 중국에서 고용하고 있는 수만명의 일자리도 위협받을 것이라는 사실을 잘 이해시켜야 한다. 장기적으로는 2012년 일본의 경험을 참고해 수출과 관광객 유치를 동남아시아 등으로 다변화하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