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취업난에 이직난까지...얼어붙은 노동시장

경기침체에 기업은 채용 꺼리고 근로자는 '버티기'

활기를 잃은 고용시장/연합뉴스활기를 잃은 고용시장/연합뉴스


고용시장이 정체됐다. 경기 침체로 기업은 사람을 뽑지 않고 근로자는 마땅히 옮길 곳이 없어 버티고 있다.

6일 통계청에 따르면 전체 근로자 중 신규·경력 채용자, 복직·전직자가 차지하는 비중을 뜻하는 입직률은 지난해 4.5%였다. 2011년과 2012년 5.4%였던 입직률은 2014년 5.0%, 2015년 4.6% 등 2010년 이후 계속 하락세다.

이와 동시에 정리해고를 당하거나 퇴직한 사람이 전체 근로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내는 이직률도 지난해 4.3%로 역시 2010년 이후 최저치다.


입직률과 이직률을 더해 산출하는 노동이동률은 지난해 8.8%에 불과했다. 역시 2010년 이후 최저치다.

관련기사



이처럼 입직률이 낮은 것은 경기 둔화, 기업 구조조정, 그리고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로 기업이 채용을 하지 않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해 취업자 증가 규모는 29만9,000만명으로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가 있었던 2009년 이후 7년 만에 가장 적었다. 조선업 등 기업 구조조정으로 제조업 취업자는 감소세(-0.1%)로 돌아섰고 실업자 수는 처음으로 100만명을 넘어섰다. 구직단념자는 44만8,000명이었다.

이직률이 줄어든 것은 근로자들이 직장을 그만둬도 새로운 일자리를 구하기 어려워 버티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정리해고를 당하거나 회사가 망해 비자발적으로 일을 그만둔 사람은 31만4,000명으로 2012년(35만6,000명) 이후 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반면 지난해 근로여건 불만족·육아·건강 등을 이유로 자발적으로 일을 그만둔 사람은 30만2,000명으로 1년 새 3만2,000명 감소했다. 직장에서 버틴 근로자 수가 증가하면서 이직률이 떨어졌다.

올해 고용시장도 매우 어려울 것이라는 비관적 전망이 잇따른다. 노동연구원은 올해 취업자 증가 폭이 28만4,000명으로 지난해보다 더 축소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노동이동률은 올해 하반기에나 개선의 여지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박신영인턴기자 sypark@sedaily.com

박신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