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트럼프 ‘오바마 도청의혹’ 의회조사 공식 요청…신구정권 갈등 확산

공화당 소속 하원 정보위원장 “조사하겠다”며 맞장구

오바마 측은 “어떤 도청도 없었다”며 반발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왼쪽) 대통령과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 /EPA연합뉴스미국의 도널드 트럼프(왼쪽) 대통령과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 /EPA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 의회에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의 ‘도청 의혹’을 공식적으로 조사해줄 것을 요구했다. 전·현직 대통령 간 갈등이 본격화하는 모양새다.

숀 스파이서 백악관 대변인은 5일(현지시간) 트위터 성명에서 “2016년 대선 직전 정치적 목적의 수사 가능성에 관한 보도는 매우 걱정스러운 것”이라며 “러시아의 행위(미국 대선개입 해킹 사건)를 규명하기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 트럼프 대통령은 의회 정보위원회에 당시 정부가 실제로 수사 권한을 남용했는지 확인해줄 것을 요청한다”고 밝혔다.


스파이서 대변인이 언급한 대선 직전 수사란 오바마 전 대통령의 트럼프 타워 도청 지시 의혹을 일컫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새벽 트위터에 “오바마가 (선거) 승리 직전 트럼프 타워에서 전화를 도청했다는 걸 방금 알았다. 이는 닉슨 전 대통령의 워터게이트 감”이라는 비판글을 올렸다. 주장을 입증할 증거는 제시하지 않았다.

관련기사



트럼프 대통령의 조사 요구에 대해 공화당 소속 데빈 누네스(캘리포니아) 하원 정보위원장은 즉각 수용 의사를 밝혔다. 그는 성명에서 “하원 정보위 조사의 핵심 중 하나는 지난해 대선 기간 러시아 정보기관들이 취한 행동에 대한 미 정부의 대응도 포함돼 있다”며 “하원 정보위는 지난해 대선 기간 미 정부가 어떤 정당의 (선거) 캠페인 관리 또는 측근 대리인들에 대해서라도 감시 활동을 했는지를 조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바마 전 대통령 측과 민주당은 트럼프 대통령을 맹비난하고 나섰다. 오바마 정부에서 국가정보국장(DNI)을 지낸 제임스 클래퍼는 이날 NBC 방송 인터뷰에서 “대선 때 어떤 도청 행위도 이뤄진 적이 없다”고 일축했다.

김창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