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朴대통령 탄핵] 대통령 파면...靑 참모들 어디로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11월 4일 청와대에서 ‘비선실세’ 최순실씨의 국정농단 사태와 관련한 대국민 담화문을 발표한 후 허리 숙여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11월 4일 청와대에서 ‘비선실세’ 최순실씨의 국정농단 사태와 관련한 대국민 담화문을 발표한 후 허리 숙여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10일 헌법재판소가 탄핵을 만장일치로 인용하면서 박근혜 대통령은 ‘전직 대통령’ 신분이 됐다.

이에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탄핵 선고 직후 긴급 국무회의를 열고 비상 대응을 주문했다. 유일호 경제부총리도 긴급 대책회의를 소집하는 등 전 행정부처도 비상상황에 돌입했다.


청와대를 떠나게 되는 박 전 대통령을 비롯해 황 권한대행 등 박 전 대통령의 주요 인사들의 거취에 대해서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박근혜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일인 10일 오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로 출근을 하고 있다./연합뉴스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박근혜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일인 10일 오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로 출근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우선 ‘최순실 국정농단’과 관련한 주요 인사들은 특검의 수사과정에서 이미 물러난 상태다.


황 대행 등 남은 인사들은 박근혜 정부 인사라는 점을 들어 ‘연대 책임론’이 제기될 수 있다. 황 대행의 경우 야당으로부터 줄곧 ‘박 대통령 아바타’라고 비판을 받아왔다. 특히 야권은 특검 연장 불승인한 이유로 황 대행에 대해 탄핵안을 추진하기도 했다.

관련기사



외교·안보 장관들도 예외는 아니다.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의 전격 배치,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합의 등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고 있는 상황이다.

이외 박 전 대통령의 비서실장이었던 한광옥을 비롯한 청와대 실장 및 수석비서관에 대한 연대 책임론도 제기될 수 있다. 대통령 부재 상황에서 청와대 참모조직이 필요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청와대 참모진은 박 전 대통령의 직무정지 이후 황교안 대행을 보좌하는 업무에 집중하고 있다는 논리도 나오고 있다.

다만 박 전 대통령이 탄핵으로 물러나면서 지도자 공백 상태라는 점을 고려해 당분간 정부는 종합적으로 상황을 관리하는데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정가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