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탄핵 후 폐족 위기몰린 친박

130명 육박했으나 현재 반토막

차기 총선서 생존 불투명

보수층 동정 표심 기대 속

朴 메시지 따라 명운 좌우

박근혜 대통령이 10일 파면되면서 그를 적극 지지해온 친박 계파도 정치적 명운을 장담하기 어렵게 됐다. 이들은 지난해 3월까지만 해도 약 130명에 육박했던 최대 정치 계파였으나 현재는 최대 60명 정도로 반토막 났고 그마저도 차기 국회의원 총선거에서 생존이 불투명한 상황이다.

현재 대표적인 친박계로는 조원진(대구 달서병), 윤상현(인천 남구을), 김진태(강원 춘천) 의원 등이 꼽힌다. 그중에서도 조 의원을 비롯한 대구경북(TK) 계열 친박 의원들은 박 대통령의 파면에도 불구하고 쉽게 탈계파 선언을 하기 어려운 처지다. TK는 대구 출신의 박 전 대통령에게는 정치적 기반 지역이었던 만큼 현지에는 아직도 광범위한 친박 지지 유권자들이 있기 때문이다. 조 의원은 이를 의식한 듯 10일 대통령 탄핵 인용 선고를 내린 헌법재판소 앞에서 탄핵 반대를 외쳤던 일부 보수 시민들의 태극기 집회에 참가하기도 했다. 이후 박 전 대통령과의 면담을 시도하다가 불발된 것으로 전해진다. 박 전 대통령과의 면담은 헌재의 선고 후 박 전 대통령이 어떤 메시지를 던져야 할지 등을 상의하기 위해 추진했을 가능성이 있다.

윤 의원은 이날 헌재의 탄핵 선고를 앞두고 당내 의원 및 원외 당협위원장들로부터 탄핵 반대 연판장을 받았으며 김 의원도 당일 오후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대한민국의 법치는 죽었다. 대통령을 끄집어내려 파면하면서 국론분열이 종식되겠나”라며 헌재 선고를 비판했다.


현재 친박계는 박 전 대통령에 대한 동정론이 일어 보수층의 표심이 자신들로 향하기를 고대하고 있다. 특히 박 전 대통령이 파면당한 자신의 처지와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에 대해 어떤 입장을 내놓을지가 향후 보수 표심을 좌우하는 변수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관련기사



다만 박 전 대통령이 헌재의 선고에 불복하거나 억울함을 과도하게 주장할 경우 오히려 법치를 부인한다는 역풍이 친박계에 불 수도 있다. 이는 특히 사회문제에 민감한 수도권 지역구의 친박계에 치명타가 될 수도 있어 여론의 향배에 따라서는 수도권 일부 의원들을 중심으로 친박계의 이탈이 발생하거나 아예 친박계 자체가 폐족으로 전락할 수도 있다.

앞서 친박계는 지난 2004년 박 전 대통령이 한나라당(새누리당의 전신) 대표로 선출되면서 형성됐다. 검찰의 대선자금 수사로 한나라당이 ‘차떼기당’이라는 오명을 썼을 때 천막당사를 설치하며 총선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이때 친박계로 김무성·유승민·홍사덕 의원 등이 분류됐다.

이후 2007년 대선후보 경선을 치르면서 TK 지역 의원들과 서청원 의원 등이 합류했다. 이명박 정부 첫해 치러진 2008년 총선에서 친박계 의원들이 공천을 받지 못하면서 친박계가 위기를 맞기도 했다. 서 의원을 중심으로 친박연대, 김무성 의원을 중심으로 친박무소속연대를 만들며 결속력은 더 강화했다.

2011년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 체제로 당이 재편면서 기존의 친박계였던 김무성·유승민 의원 등이 박 전 대통령과 멀어지고 윤상현·조원진·최경환·김재원·이완구 등이 친박계로 합류했다.

김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