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제주 온 유커 관광객 3,000여명 전원 '하선 거부' 갑자기 왜?

국제 크루선 코스타 세레나호 모습/연합뉴스국제 크루선 코스타 세레나호 모습/연합뉴스


중국 정부가 사드 보복으로 한국행 관광 중단을 지시한 가운데 국제크루즈선을 타고 제주에 온 중국인 단체관광객(유커) 3,400명 전원이 배에서 내리는 것을 거부하는 사태가 처음으로 벌어졌다.

12일 제주도에 따르면 11일 오후 1시께 제주에 온 국제크루즈선인 코스타 세레나호(1만1,000t급)가 제주항 외항에 도착했다. 그러나 크루즈 관광객 3,400여명은 돌연 배에서 내리지 않겠다고 통보했다. 입국 수속 등 출입국·통관·검역 요원과 제주항 외항을 위탁 관리하는 해운조합 등은 이들의 하선 거부에 당황한 기색이 역력했다. 해운조합 제주지부의 한 관계자는 “최근 들어 중국 관광객 일부가 배에서 내리지 않는 일은 있으나 이번 경우처럼 전원이 하선하지 않은 것은 처음”이라고 전했다. 또한 외항 주차장서 이들 관광객을 태우려고 장시간 대기했던 전세버스 80여대의 운전기사와 관광안내사 수십 명은 유커의 변심에 빈 손으로 되돌아갔다. 이들을 맞을 준비하던 면세점 등 유통업체도 마찬가지다. 도 관계자는 “크루즈가 기항하는 순간까지도 아무런 통보가 없다가 배를 댄 뒤에서야 승객 하선을 취소한다고 현지 여행사가 통보해왔다”고 말했다. 이 크루즈선에 탑승한 중국인 관광객들은 중국 모 기업의 인센티브 관광단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이 돌연 하선 거부를 한 이유는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보복에 따른 중국 정부의 방한 관광 중단과 연관된 것으로 보인다. 이 크루즈선은 일본 후쿠오카를 출발해 제주에 도착했으나 승객 전원이 하선하지 않은 채 기항 4시간 만인 오후 5시께 다음 기항지인 중국 톈진으로 출항했다.


국제 크루즈가 제주에 기항해온 1990년대 말부터 현재까지 20년간 승객들이 하선 거부하는 일은 이번이 처음이다.

관련기사



중국 정부의 방한 관광 중단 지시로 현재까지 유럽 최고의 크루즈 선사인 코스타 크루즈가 코스타 세레나호와 코스타 아틀란티카(8만 5,000t급)호의 제주 기항을 오는 16일부터 6월 30일까지 취소한 상태다. 기항이 취소되는 횟수는 각각 26회다.

지난해 기준으로 1척이 1회 기항할 때마다 평균 2,300명의 중국인 관광객이 타고 온 점을 고려하면 앞으로 약 12만 명이 제주에 오지 못할 것으로 추정된다.

앞서 12일 제주항에 입항한 코스타 아틀란티카호는 유커 2,300여명이 정상적으로 하선, 제주 관광을 했다.

정가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