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中 '비운의 개혁파' 후야오방 부인 별세

중국의 개혁파 지도자였던 후야오방 전 중국 공산당 총서기의 부인 리자오가 지난 11일 베이징 셰허병원에서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96세.

12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후 전 총서기의 셋째 아들 후더화는 “모친이 11일 오후 4시18분 영면했다. 평화롭고 아무런 고통 없이 가셨다”고 말했다.


장례식은 오는 17일 바바오산 혁명열사 묘지에서 치러질 예정이다.

1921년 안후이성 쑤청에서 태어난 리자오는 1939년 공산당 근거지였던 옌안의 중국여자대학에서 공부할 당시 중국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총정치부 조직부장이던 후야오방을 만나 1941년 결혼했다.


신중국 성립 이후 베이징시 방적공업국 당서기를 지냈던 리자오는 문화대혁명 종료 후 후야오방이 자본주의 추종세력인 주자파로 몰려 박해를 받았던 이들을 복권시키는 업무를 맡을 당시 이들의 사연을 접수하는 창구 역할을 했었다. 이후엔 베이징의류업협회 회장을 지내기도 했다.

관련기사



남편인 후야오방은 1980년 덩샤오핑에 의해 총서기로 발탁돼 개혁·개방정책을 강화하고 민주화 움직임에 호의적 모습을 보이다 보수파의 역공을 받아 덩샤오핑에 의해 축출됐다. ‘비운의 총서기’ 후야오방이 1989년 4월 심장병으로 갑자기 세상을 떠나자 그에 대한 추모 및 재평가 요구는 1989년 6·4 톈안먼 민주화 시위와 유혈 사태의 도화선이 되기도 했다.

리자오는 남편이 권력층에 올랐을 때도 매일 도시락을 싸서 직장까지 걸어 다니는 모습을 보이며 후야오방이 청렴한 개혁파 지도자로서 당시 청년들의 존경을 받는 데 일익을 담당했다.

리자오는 남편의 묘소를 장시성 공산주의청년단(공청단) 본부로 이장하고 비석에 자신이 직접 서예로 쓴 “공명정대하며 사심도 부끄러움도 없다”(光明磊落 無私無愧)라는 비문을 새기기도 했다.

리자오는 후더핑 전 중앙통일전선부장과 개혁성향 이론지 옌황춘추 부사장을 지낸 후더화 등 3남1녀의 자녀를 두고 있다.

후야오방은 공청단 계열인 후진타오 주석 체제가 들어선 2000년대 들어 명예회복이 이뤄지기 시작해 탄생 100주년을 맞은 지난 2015년 시진핑 주석에 의해 공식 복권됐다.

김희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