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탄핵 후 긴급여론조사]국민 70% "연정해야"...'대연정' 지지 '소연정'보다 2배 이상↑

후보들 탄핵정국 대처 낙제점

가장높은 평가 받은 문재인도

"잘 대처했다" 의견 14% 그쳐

새대통령 덕목 '도덕성' 1순위

60대 이상은 '안보' 가장 중시



이번 대통령 탄핵 및 파면 정국에서 대선주자들은 정당·성향에 관계없이 모조리 낙제점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서울경제신문이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0~11일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4,280명 중 응답자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대통령 탄핵국면에서 정치지도자로서 잘 대처한 후보를 꼽아달라는 질문에는 절반에 가까운 45.8%가 ‘없다’와 ‘모름’을 택했다. 가장 높은 평가를 받은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조차도 ‘잘 대처했다’는 비율이 14.1%에 불과했고 속 시원한 발언으로 인기를 끈 이재명 성남시장이 9.8%로 뒤를 이었다.


차기 정부의 국정운영 방식에 대해 유권자 10명 중 7명은 다른 정당과 손잡고 국정을 공동으로 운영하는 ‘연정’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정 방식과 관련해서는 정치적 목표만 같다면 보수·진보를 막론하고 손을 잡는 ‘대연정’에 대한 선호가 이념 성향이 유사한 정당끼리 협력하는 ‘소연정’보다 2배 이상 높았다.

대연정을 지지하는 비율이 48.9%로 가장 높았다. 소연정론(응답자 21.3%)이 바로 뒤를 이었다. 두 응답을 합치면 연정 찬성 응답률이 70.2%에 달한다. 김춘석 한국리서치 여론조사본부장은 “일반적으로 설문조사에서 특정 사안을 지지하는 응답 비율이 70%를 넘어가면 여론이 그 방향으로 굳어진 것으로 본다”며 “연정에 대해서도 마찬가지 상황인 것 같다”고 분석했다.


그에 비해 연정 반대를 외치는 응답 비율은 8.1%에 그쳤다. ‘잘 모르겠다’고 답한 부동층의 비중은 21.6%였다.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 인용 이전과 비교해봐도 대연정 선호도는 두드러지게 상승했다. 지난달 24~25일 실시된 한국리서치 조사에서는 △대연정 찬성 38.6% △소연정 찬성 21.9% △연정 반대 6.1% △모름 33.4%였다.

관련기사



대연정 선호는 정당별로 국민의당 및 바른정당 지지자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대선주자 지지층별로 보면 안희정 충남지사(더불어민주당) 및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의 지지자에서, 이념별로는 중도층 사이에서 대연정 선호 응답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는 국민의당이 제3지대에서 합리적 보수가 뭉치자고 주창해온 흐름이나 안 지사가 대연정을 통한 협치를 외쳐온 맥락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재미있는 점은 대연정에 난색을 표명해온 대선주자인 문 전 대표 지지층에서도 대연정 지지 응답 비율이 45.2%로 가장 많았다는 점이다. 이는 누가 대선에서 승리해도 여소야대가 될 수밖에 없는 현재의 국회 구조에서 대연정이 안정적인 국정운영을 위한 해법이라는 인식이 정치적 성향에 관계없이 국민들 사이에서 번지고 있음을 방증한다.

연정 지지에 대한 배경에는 사회적 분열에 대한 우려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이번 조사에서도 박 전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 인용 결정으로 사회적 갈등이 해소될지 여부에 대해서는 의견이 반분됐다. 새 대통령을 선택할 때의 기준으로 유권자들은 △도덕성(22.1%) △리더십과 경력(20.3%) △이념과 공약(16.2%) △사회 통합 능력(16.2%) △외교 및 안보 능력(14.2%) 순으로 꼽았다. 바른정당 및 국민의당 지지자, 20~30대 청년층일수록 도덕성을 중시하는 비중이 높았고 자유한국당 지지자와 60대 이상은 상대적으로 안보를 중시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번 조사는 지역별·성별·연령별로 응답자에게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김능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