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남성과 여성 화장 방법이 바뀐다 … 메이크업도 ‘젠더리스’ 시대



패션업계 남녀 경계를 허문 ‘젠더리스(Genderless)’ 트렌드가 뷰티업계로 확대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화장품군의 경우 기존 통념과는 다르게 남성 소비자들은 진한 메이크업을, 여성 소비자들은 연한 메이크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다.

14일 롯데백화점은 “지난해 남성 고객이 자신의 미용 목적으로 구매한 화장품 매출이 500억 원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특히 색조화장품 브랜드 매출 중 남성 고객 구성비는 점차 늘어나는 추세다. 지난 2012년 4%에서 2016년 11%로 7% 이상 상승했으며, 남성 고객의 색조화장품 구매 객단가 또한 5년 만에 15% 이상 높아졌다. 작년 봄 남성 고객을 타깃으로 출시한 ‘문샷’ 브랜드의 ‘GD 쿠션’은 출시 후 선풍적인 인기를 끌며 2주 만에 준비물량 1만개가 완판되기도 했다.

관련기사



반면 여성 고객들은 연한 화장을 선호하며 투명 메이크업 관련 제품 구매를 늘리고 있다. 롯데백화점 여성 고객의 색조화장품 구매 객단가는 지난 5년 전에 비해 20% 이상 낮아졌으며 투명 메이크업에 필수 상품인 립스틱, 쿠션, 아이라이너 등의 2016년 매출 신장률은 전체 색조화장품 신장률보다 10% 이상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자신의 외모에 적극 투자하는 남성 ‘그루밍족’이 늘어나면서 기존 스킨케어뿐만 아니라 색조 메이크업에 대한 남성들의 관심이 높아지는 반면 여성들은 메이크업 단계를 줄여 연하게 화장하는 ‘미니멀리스트’를 추구하는 트렌드가 강해지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국내 남성 화장품 시장 규모는 1조원을 넘어섰다.

박윤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