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지자체 "이번엔 꼭"…대선공약 발굴 속도

광주·울산, 친환경車 선도도시·AI 수송기 부품거점 구축 포부

부산·전남은 해양특별시 설립·해양수산관광지구 지정 잰걸음

인천, 27개 사업 검토 단계…경기도 '5대 목표' 각당 제출키로

1515A31 지방자치단체 대선 공약 추진 사항




헌법재판소의 박근혜 대통령 탄핵 결정으로 5월 초 조기 대통령 선거가 치러짐에 따라 각 지방자치단체마다 지역 대선 공약 발굴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자체들은 지역 숙원사업을 반영한 대선 공약안을 속속 확정하거나 막바지 정리 작업에 들어가며 대선 공약에 최대한 반영되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광주시는 제19대 대선 후보자와 각 정당에 공약으로 제시할 7개 분야 24개 과제를 최종 확정하고 본격적인 반영 활동에 돌입했다.

윤장현 광주시장은 14일 시청에서 총사업비 43조6,878억원 규모의 대선 공약 과제를 확정해 발표했다.

이날 확정된 프로젝트는 △‘친환경자동차·에너지 선도도시 구축 사업’ 5조860억원 △‘4차 산업혁명시대 신성장산업 중심도시 조성’ 등 5개 프로젝트 6조6,400억원 △‘45억 아시아인이 찾는 문화예술 창의도시 조성’ 등 4개 프로젝트 6조9,912억원 △‘지역통합과 통일시대 거점도시 조성’ 등 3개 프로젝트 17조6,134억원 등이다. 윤 시장은 “노사민정 대타협을 통한 광주형 일자리를 매개로 제조업 위기 상황을 돌파하기 위한 4차 산업시대의 새로운 대형 사업을 발굴하는데 초점을 뒀다”고 말했다.


전남도도 이날 대선 공약을 확정하고 △글로벌 에너지신산업 클러스터 구축 1조4,000억원 △동북아 해양수산 관광산업 국제선도지구 지정 3조4,100억원 △무안국제공항 서남권 거점공항 육성 2조7,731억원 등 20개 핵심 공약과 5개 분야 32개 정책과제 등 주요 공약을 발표했다.

관련기사



인천시는 5월 대선을 앞두고 각 정당에 제안할 지역 공약을 10개 분야 27개 사업으로 정하고 이들 사항을 인천발전연구원에서 마지막으로 검토하고 있다. 시가 제안할 구체적인 공약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으나 지역 현안 중 정부나 국회의 협조가 있어야 해법을 찾을 수 있는 사안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인천 지역에서 가장 시급한 현안은 제3연륙교 건설사업과 경인고속도로 일반도로화 국비 지원, 도심 내 군부대 이전, 서해5도 지원 방안 등이다. 특히 제3연륙교 건설 문제는 10년째 답보 상태다. 인천시 관계자는 “19대 대선을 앞두고 수년간 시가 풀지 못했던 현안을 정리하고 각 당 후보 공약에 포함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울산시는 ‘인공지능(AI) 기반 수송기기 핵심부품 생산거점 구축 사업’을 대선 공약에 반영하기 위해 각 정당과 후보들을 상대로 본격적인 활동에 나설 방침이다.

세부사업으로는 먼저 ‘지능형 미래자동차 하이테크 밸리’를 조성할 계획이다. 울주군 삼남면에 조성 중인 산업단지에 전자부품연구원과 AI·ICT(정보통신) 융합부품 등 첨단부품 생산기업을 입주하도록 한다는 구상이다.

경기도는 현재 대선 공약안으로 5대 목표 아래 19개 전략과제를 마련하고 있다. 경기도는 이르면 이번 주 공약안을 각 정당에 제출할 예정이며 5대 목표는 경제일자리, 복지, 도시환경, 지방자치, 남북협력이다.

부산시는 지난해 12월 대선 공약 태스크포스(TF)팀을 구성해 대선 공약 발굴 작업을 벌여왔으며 15일 5대 분야, 40개 과제의 공약을 내놓을 계획이다. 부산시는 부산을 해양수도로 만들어 자치권과 재정을 확대하는 ‘해양 특별시 설립 및 지원 특별법’ 제정과 4차 산업혁명 선도지구 조성 등을 건의할 계획이다. 김해신공항 건설의 경우 접근망 개선을 위해 부전역~신공항 KTX 신설, 부산~마산 복선전철화 연장 등을 제시하고 공항 소음 피해 최소화를 위한 현실적 대책 마련도 요구할 방침이다.

/광주=김선덕기자 sdkim@sedaily.com·전국종합

이재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