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이 15일 차기 대선 불출마를 공식화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그동안 정치권에서는 황 대행의 출마 여부를 놓고 “지지층의 요구를 거부하기 힘들 것”이라는 전망과 “선거 관리를 위한 심판 역할에 집중할 것”이라는 예측이 엇갈려왔다.
황 대행의 불출마 결심에는 크게 세 가지 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첫 번째는 탄핵 인용에 따른 책임론이다. 헌법재판소가 재판관 전원일치 의견으로 인용 결정을 내린 가운데 박근혜 정부 임기 내내 대통령을 보좌한 황 대행이 선뜻 대권 도전에 나서기는 부담스러웠을 것이라는 해석이다. 이와 함께 대통령 궐위 상황에서 권한대행을 맡은 국무총리마저 물러나면 국정 공백이 한층 가속화할 수밖에 없다는 우려도 불출마 결정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전날 황 대행은 청와대 실장과 수석 등 참모진의 사표를 일괄적으로 반려하며 “국정 공백 최소화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주문한 바 있는데 정작 본인이 ‘권한대행의 권한대행’에게 국정을 맡기고 출마를 결단하기는 쉽지 않았을 것이라는 얘기다.
탄핵 인용 후 지지율이 눈에 띄는 하락세로 돌아선 점 역시 황 대행의 출마를 가로막은 변수로 작용했다.
실제로 황 대행은 지난 6~7일 한국리서치·JTBC 여론조사에서 11.1%의 지지율을 기록했으나 탄핵 인용 직후인 10~11일 한국리서치·서울경제신문 조사에서는 8.9%로 뚝 떨어졌다. 특히 한국리서치·서울경제신문 조사에서 응답자의 60.1%가 황 대행의 출마를 반대한다는 의견을 나타내기도 했다. 출마 찬성 의사를 밝힌 응답자는 18.9%에 불과했다. 여론조사와 관련한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공정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