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美 20년 대북정책은 실패...새 접근법 필요"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

"한미일 협력 강화 중요"

16일 도쿄 총리관저에서 만난 렉스 틸러슨(왼쪽) 미국 국무장관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웃으며 악수를 하고 있다. 이날 틸러슨 장관은 아베 총리와의 회담 전에 기시다 후미오 외무상과 만나 대북 제재에 대한 한미일 3각 공조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도쿄=AP연합뉴스16일 도쿄 총리관저에서 만난 렉스 틸러슨(왼쪽) 미국 국무장관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웃으며 악수를 하고 있다. 이날 틸러슨 장관은 아베 총리와의 회담 전에 기시다 후미오 외무상과 만나 대북 제재에 대한 한미일 3각 공조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도쿄=AP연합뉴스




미국과 일본이 도발적 행동을 일삼는 북한을 제재하기 위해 긴밀히 협력할 것을 다짐했다.


한·중·일 순방 일정 중 첫 번째 방문국으로 일본을 찾은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은 16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과 회동 후 기자회견에서 “지난 20여 년간 미국의 대북정책은 실패했다”며 “북한의 핵미사일 문제 대응에 미일 및 한미일 3국의 협력 강화가 대단히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이어 틸러슨 장관은 “북한의 위협은 점점 더 커지고 있다”며 “지금까지와 다른 접근법이 필요하다”고 밝혀 미국 정부가 효과적인 대북제재 방안을 구상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그는 특히 북한의 정치적 지원국인 중국에 대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며 “중국이 더 많은 (대북 제제 관련) 행동을 취하도록 대화를 해나가겠다”고 덧붙였다.

틸러슨 장관은 17일 오전 도쿄발 전용기 편으로 한국에 도착해 비무장지대(DMZ) 방문,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총리 예방 등 일정을 소화한 뒤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회담한다. 윤 장관과의 회담에서는 실전 배치가 임박한 북한 핵무기와 미사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미 공동의 방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할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북한과 거래한 제3국 기업에 대한 2차 제재를 의미하는 세컨더리 보이콧과 중국의 대북압박 유도방안 등에 대해서 긴밀한 논의를 나눌 전망이다. 윤 장관은 18∼19일 중국을 마지막으로 방문하는 틸러슨 장관에게 중국이 한국에 대한 경제 제재를 중단하도록 촉구해 달라고 요청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수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