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설민석, 민족대표 33인 '룸살롱' 폄훼 논란..."주옥경 당시 기생 아냐" 지적도

설민석, 민족대표 33인 폄훼 논란...설민석, 민족대표 33인 폄훼 논란..."주옥경 당시 기생 아니었다"


인터넷 강사 설민석이 민족대표 33인을 폄훼했다는 논란에 휩싸였다.

17일 인터넷 강사 설민석이 한 강의에서 "학생들하고 12시에 낮에 만나서 독립선언서 외치면 학생들이 태극기 나눠주려 했다. 당일날 민족대표들은 현장에 없었다. 우리나라 최초의 룸살롱이 있었다. 태화관이라고 이완용 단골집이다. 그 집 마담 주옥경과 손병희가 사귀었다. 나중에 결혼했다. 세 번째 부인이다. 그 마담이 DC해준다고 오라고 했는지 모르겠는데, 대낮에 가서 낮술을 먹는거다. 기미독립선언서 외치고 전화를 한다. 택시타고 스스로 자수한 게 민족대표 33인이다"고 말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파문이 일고 있다.



이에 한 방송에서는 해당 발언을 두고 여러 해석을 내놓았는데 우선 진행자 김진은 "민족대표 33인이 3.1운동에 촉발된 인물인데 독립선언서 작성하는 그 역사적 순간을 이른바 룸살롱 가서 마담과 연애를 했다고 강의를 한거다"라고 비판적 입장을 보였다.

이에 이준식 민족문제연구소 연구위원도 "축배를 한 잔 들었을 수 있지만 33인 중 상당수가 목사나 장로들인데 술판을 벌였다는 느낌의 서술은 문제가 있다"고 과장된 표현이라는 지적을 했고, 손병희 후손 정유헌 씨는 "독립운동하신 선열님들에 대해 너무 모독적이고 망언이다"라고 불쾌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또 천도교 연구자 이창번 씨는 "(주옥경은)손병희 선생을 만나 우이동에서 부인으로서 내조했다. 3.1운동 당시엔 기생이 아니었다"고 역사적 사실에 대한 왜곡이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관련기사



또 설민석이 자신의 SNS를 통해 "민족대표 33인이 태화관에서 독립선언서 낭독 후 자발적으로 일본 총감부에 연락해 투옥된 점과 탑골공원에서의 만세 운동이라는 역사의 중요한 현장에 있지 않았다는 점 등에 대해 다양한 학계의 평가가 있으며 민족 대표에 대한 비판적인 견해 역시 존재한다. 그것은 그 날 사건의 견해일 뿐이지 폄훼하려는 의도는 없었다. 하지만 제 의도와는 다르게 유족분들께 상처가 될만한 지나친 표현이 있었다는 꾸지람은 달게 받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을 두고도 논쟁이 벌어졌다.

한 패널은 "설민석 강사의 이야기에는 팩트와, 역사적 인식이 섞여 있다. 이를 구분하는 데서 문제가 있다. 또 저 분이 강의를 재밌게 하더라. 연극영화가 출신이더라. 석사는 역사 교육을 했다. 큰 틀에서 볼 때 역사에서 서술이 틀린 건 별로 없는데 재미나게 강의하다보니 연극적 요소로 오바해서 말하는 성향이 있더라. 특히 33인 대표는 천도교 기독교 불교 대표 등 민족대표로서 종교단체 대표로서의 상징성 있는 분들이다. 현장에 없었고 종로경찰서에 직접 전화한 건 맞지만 손병희 선생 같은 경우는 체포돼 옥사를 했다. 한 분 빼곤 전부 다 감옥에 갔다. 역사적 의미 자체를 과소평가하거나 그날의 해프닝과 이어 의미를 축소하는 건 적절치 못하다"고 설민석 강사의 강의가 '오버'라고 비판했다.

[사진 = 채널A화면 캡처]

/김경민 기자 kkm2619@sedaily.com

김경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