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IT장비 업체들 “의료기기 시장서 금맥 캔다”

반도체·디스플레이분야 정밀기술 접목해

매출 키우고 들쑥날쑥 실적 안전판 마련

반도체·디스플레이 장비 업체들이 주특기인 정밀제어·광학기술 등을 활용, 수술로봇 등 첨단 의료기기 시장에서 금맥 캐기에 나섰다.

IT장비 업체들이 이 시장에 뛰어든 것은 납품처의 업황에 따라 실적이 크게 출렁이는 본사업과 달리 인구고령화의 생활수준 향상으로 관련 의료기기 시장이 안정적으로 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제로봇연맹(IFR)에 따르면 세계 로봇 의료기기 시장은 2014년 59억달러 규모며 연평균 16% 성장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모서리를 정밀가공하는 에지 그라인더 분야에서 세계 시장점유율 1위 업체인 미래컴퍼니(049950)는 복강경 수술로봇 ‘레보아이’를 개발, 최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에서 임상시험을 마쳤다. 난이도가 높은 전립선암 수술에 성공함으로써 몸에 작은 구멍만 내고 수술도구를 넣어서 하는 모든 복부수술에 쓸 수 있다는 점을 입증했다. 조만간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임상 결과 보고서를 첨부해 품목승인 신청을 할 계획이어서 3·4분기 중 출시될 것으로 보인다. 임상결과가 좋고 식약처가 임상시험 업체들에 대한 사전 컨설팅을 강화하고 있어 자료보완 요구 없이 80일 안에 승인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미래컴퍼니의 복강경 수술로봇 ‘레보아이’(왼쪽), 고영테크놀러지의 뇌수술 부위 3D 안내 의료기기 ‘제노 가이드’.미래컴퍼니의 복강경 수술로봇 ‘레보아이’(왼쪽), 고영테크놀러지의 뇌수술 부위 3D 안내 의료기기 ‘제노 가이드’.


전자제품·반도체 생산용 3차원(3D) 정밀측정 검사장비 업체인 고영테크놀러지는 뇌수술 부위 등을 정확하게 안내해주는 3D 내비게이션 의료기기(정위기) ‘제노 가이드’를 개발, 지난해말 식약처로부터 품목승인을 받았다. 수술 전 찍은 영상(CT·MRI 등)에 수술 도구의 위치를 표시하면 자동으로 수술 도구를 삽입할 위치와 자세를 가이드 해줘 뇌수술의 정확성과 성공률을 높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수술대에 탈·부착할 수 있게 소형화했으며 올해 국내 출시와 미국 진출을 준비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반도체 공정장비 업체인 참엔지니어링(009310)은 암·심장·뇌혈관질환·제왕절개 수술 등을 하기 전 전신마취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CAI)을 개발했다. 뇌파를 측정해 마취된 정도를 숫자(마취심도지수 0~100)로 보여주기 때문에 의사가 마취제 투여량을 적절하게 조절, 의료사고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해준다. 마취심도지수가 0이면 뇌사상태에 가깝고 40이상~60 미만이면 깊게 마취된 상태, 60 이상~80 미만이면 진정·수면 상태다. 고대안암병원 임상시험을 거쳐 지난해 품목승인을 받았고 건강보험 적용도 받을 수 있게 됐다. 이달말부터 서울대병원 등 7곳에서 실전 테스트와 학술지 게재, 마케팅에 필요한 데이터를 얻기 위한 임상시험을 진행한 뒤 하반기에 본격 영업에 들어갈 계획이다.

참엔지니어링의 마취심도 모니터링시스템.참엔지니어링의 마취심도 모니터링시스템.


반도체·디스플레이 외관 검사장비·모듈 업체인 인텍플러스(064290)는 외과의사가 수술 도중 주변 조직·지방층 등에 가려지거나 파묻혀 있어 꽤 굵은 혈관을 함께 자르는 실수를 막아주는 ‘혈관탐지용 광학장치 모듈’을 개발, 임상시험을 준비 중이다. 자체 광학기술과 박성수 고려안암병원 교수로부터 이전받은 복강경 수술도구 기술을 접목했다. 김재호 전무는 “최근 의료기기 전담 자회사인 인텍바이오를 설립, 관련 사업을 진행하고 비타민D·남성호르몬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체외진단기 시장에도 뛰어들 예정”이라고 말했다.

임웅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