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피플

제10회 아산의학상에 김진수·한덕종씨

김진수 단장김진수 단장




한덕종 교수한덕종 교수


‘제10회 아산의학상’ 수상자로 기초의학 부문에 김진수 기초과학연구원 유전체교정연구단장, 임상의학 부문에 한덕종 서울아산병원 일반외과 교수가 각각 선정됐다. 올해 젊은 의학자 부문에는 최정균 카이스트 바이오·뇌공학과 교수와 안정민 울산의대 심장내과 교수가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아산사회복지재단은 21일 오후 서울 용산구 한남동 그랜드 하얏트 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시상식에서 김진수 단장과 한덕종 교수에게는 각각 3억원, 최정균 교수와 안정민 교수에게 각각 5,000만원의 상금을 수여했다.

김진수 단장은 유전자 염기서열 일부를 자르거나 교정할 수 있는 3세대 유전자가위 ‘크리스퍼-카스9’(CRISPR-Cas9)를 개발했으며, 2012년 인간 세포의 유전자 교정을 세계 최초로 성공한 인물이다. 특히 2016년 크리스퍼 유전자가위에 새로운 절단효소(Cpf1)를 장착해 더 정밀하게 원하는 부분을 교정할 수 있는 신형 유전자가위(크리스퍼-Cpf1)의 정확성을 검증하기도 했다.


한덕종 교수는 신장·췌장 이식의 불모지였던 국내에서 뇌사자의 신장·췌장 동시 이식술(1992년 7월)과 생체기증자 췌장 이식술(1992년 12월)을 최초로 성공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한 교수는 2016년 12월까지 국내에서 가장 많은 신장이식술(4,631건)을 시행했으며 췌장이식의 경우 뇌사자와 생체기증자를 포함해 350건을 달성했다.

관련기사



그 외 ‘젊은 의학자’로 선정된 최정균 교수는 DNA 빅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다양한 질병의 주요 원인 인자를 규명한 점이 높이 평가됐으며, 안정민 교수는 수술 없이 혈관을 통한 최소침습시술로 심장 스텐트·판막 등을 장착시켜 심장질환 환자에게 새로운 치료지침을 제시했다.

아산사회복지재단은 기초의학·임상의학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이룬 의과학자를 격려하기 위해 지난 2007년부터 연구비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임웅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