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대 학생·교수·직원 공대위 출범 “서울대 공공성 회복해야”

‘법인화’ 이후 수익만 중시

공공성 회복이 핵심과제

23일 서울 관악구 서울대 행정관 앞에서 ‘서울대의 공공성 회복과 민주화 쟁취를 위한 공동대칙위원회’가 출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박우현 기자23일 서울 관악구 서울대 행정관 앞에서 ‘서울대의 공공성 회복과 민주화 쟁취를 위한 공동대칙위원회’가 출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박우현 기자




서울대 본부점거 강제해산 이후 학교와 학생 간 분열을 막기 위해 교수·직원·학생들로 구성된 공동대책위원회가 출범했다.

서울대의 공공성 회복과 민주화 쟁취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이하 공대위)는 23일 오후 2시께 서울 관악구 서울대 행정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같이 밝혔다. 이들은 시흥캠퍼스를 반대하기 위해 반년 넘게 투쟁하고 있는 학생들과 비정규직 차별을 주장하고 있는 비학생 조교들을 언급하면서 “민주적이고 공공적 이익에 충실한 서울대학교를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공대위는 학내 민주주의가 사라진 배경에 법인화로 대표되는 ‘대학의 기업화’가 있다고 주장했다. “(서울대 법인화 이후) 대학이 교육적 가치보다 이윤과 수익을 더 중시해야만 하는 구조적 상황에 놓였다”며 “훼손된 서울대의 공공성 쟁취를 핵심과제로 내걸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서울대학교민주화교수협의회(민교협)를 대표해 공대위에 참석한 박배균 서울대 지리교육과 교수는 “전 세계가 한국 민주주의를 칭송하던 순간 서울대에서는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사건이 일어났다”며 “함께 손잡고 서울대를 바꾸려 노력해보자”고 말했다.

이날 공대위에는 서울대 총학생회와 서울대 민주화교수협의회, 한국비정규직교수노조 서울대분회, 전국대학노조 서울대지부, 서울일반노동조합 서울대 기계·전기분회 등이 참여했다.

박우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