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檢 '2015년10월 서별관회의' 정조준

대우조선에 4.3조 지원 결정 과정 수사 착수

이달 2~3차례 홍기택 비공개 조사

부실 우려가 제기된 대우조선해양에 정부가 거액의 유동성 지원을 한 배경을 두고 검찰이 수사에 나섰다. 수조원대 자금지원을 결정하는 과정에 당시 경제 최고위 당국자들이 참여한 터라 검찰의 수사 칼날이 앞으로 이들에게 미칠지 주목된다.

24일 법조계에 따르면 검찰 부패범죄특별수사단(단장 김기동 검사장)은 이달 들어 홍기택 전 한국산업은행 회장을 두세 차례에 걸쳐 비공개 소환 조사했다. 검찰이 피고발인 신분으로 홍 전 회장을 처음 불러 조사한 것은 지난달 27일로 이후 추가 조사가 진행됐다.


검찰이 홍 전 회장을 연거푸 불러 조사하면서 예의 주시하고 있는 부분은 지난 2015년 10월 청와대 서별관회의(비공개 거시경제정책조정협의회)에서 대우조선해양에 4조3,000억원 규모의 막대한 유동성 지원을 하도록 결정했는지 여부다. 검찰은 홍 전 회장을 상대로 당시 상황과 산업은행 주도로 대우조선해양에 막대한 자금이 지원됐는지 등을 중점 조사한 것으로 전해졌다. 홍 전 회장은 최대주주이자 주채권은행인 산은이 아니라 정부 차원에서 대우조선해양 지원이 결정됐다며 부실지원 책임 의혹을 강하게 부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검찰은 홍 전 회장을 재차 부르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특히 홍 전 회장 등 산은 관계자들의 혐의가 구체적으로 드러나면 서별관회의에 참석한 당시 최고위 정책결정권자들의 소환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을 방침이다.

검찰 관계자는 “혐의를 단정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 특정인을 소환한다는 계획은 아직 정해진 게 없다”고 말했다. 대우조선해양은 2015년 정성립 사장 취임 이후 쌓은 부실을 한꺼번에 털어내는 빅 배스(big bath)를 단행한 뒤 수조원대 분식회계 의혹에 휩싸였다. 당시 대규모 분식회계 우려로 부실 규모조차 가늠하기 어렵다는 걱정의 목소리가 나왔으나 서별관회의에서는 산은 주도로 대규모 신규 유동성만 지원하면 회사를 정상화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안현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