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종목·투자전략

연임 성공 김원규 NH證 사장 "해외자산 발굴해 상품전쟁서 승리"

IB 탄탄히 키워 독보적 상품 개발

자기자본 8조 초대형 IB가 목표



“상품 전쟁에서 승리하는 증권사가 되겠습니다.”

지난 24일 NH투자증권(005940) 주주총회에서 연임을 확정 지은 김원규(사진)NH투자증권 사장의 올해 목표는 튼튼한 투자은행(IB)이다. 연임 축하 인사를 나누며 그는 “안정적인 자산관리부문(WM) 수익기반을 위해서는 IB부분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사장은 현재 상품구조로는 전쟁 같은 시장에서 경쟁력이 없다고 지적한다. 그는 “해외자산을 가지고 상품을 만들어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며 “증권사는 해외자산을 발굴(소싱)해 상품화해 기관투자가와 초고액자산가에게 제공해야 살아남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경쟁사에 없는 상품을 만들어 내기 위해서는 IB가 탄탄해야 한다”며 “IB가 딜게이트(Gate) 역할을 해주고 상품을 기획해서 영업까지 연결하는 3박자를 갖춰야 한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올해 살림에 대한 질문에 김 사장의 표정은 그리 밝지 않았다. 그는 “채권금리가 오르며 채권투자 수익이 줄어들 것”이라며 “주식시장도 코스피지수가 최고가를 경신하더라도 수익으로 연결되는 시대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김 사장은 이어 “주식시장이 활황이더라도 거래량 자체가 줄었고 온라인뿐만 아니라 전화주문까지도 수수료 경쟁를 하는 상황”이라며 “결국 독보적인 상품을 만들어 고객에게 5%이상의 수익을 주고 증권사가 1~2%가량의 마진을 남겨야 생존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 사장은 “범용상품으로는 결코 경쟁이 안된다”며 “차별화된 특별한 상품을 고객에게 제시해야 기회가 생길 수 있다”고 분명히 했다. 김 사장의 상품에 대한 욕심은 NH투자증권내에서도 유명하다. 2009년에는 WM사업부 대표로 취임하고 2년 뒤 2011년 메릴린치 서울사무소의 프라이빗뱅커(PB) 조직을 흡수해 지금의 프리미어블루 강북센터를 출범시켰다. 당시만 해도 생소한 해외주식과 해외채권 등 해외투자형 상품을 중심으로 NH투자증권이 고객자산관리에 초석을 닦은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김 사장은 초대형IB들의 ‘몸집’경쟁에 대해서는 시간을 두고 고민을 해야 할 부분이라고 답했다. 그는 “골드만삭스와 같은 IB가 출연해야 한다는 점에 이견을 달 수는 없지만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다”며 “ 자기자본의 200%까지 허용되는 발행어음 등을 통해서 당분간은 충분히 경쟁력을 발휘할 수 있다”고 말했다. 현재 NH투자증권은 자기자본은 4조6,000억원으로 지난해 연말 통합 출범하며 6조7,000억원의 자기자본을 달성한 미래에셋대우에 1위 자리를 넘겨준 상태다. 김 사장은 “자기자본 확충을 위해 인수합병(M&A)과 유상증자 등은 늘 고민하는 부분”이라며 “당장은 아니라도 장기적으로 8조원의 초대형 IB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송종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