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울산 조선업 일자리 1만개 사라져

전남 지역선 4,000명 줄어들어

기업20% 상반기 채용 연기·취소





구조조정의 칼날 위에 선 조선업이 밀집한 울산·전남 지역에 고용한파가 몰아닥치고 있다. 울산은 고용보험 가입자가 1만명, 전남은 4,000명이 줄었다. 이와 함께 경기불황으로 상반기 채용을 예정했던 기업 5곳 중 1곳이 계획을 연기하거나 취소해 전국적인 고용불안도 더욱 가중되고 있다.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지역 경제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10월 현재 울산 지역 조선업체 고용보험 피보험자 수는 5만2,300명으로 전년(6만2,700여명) 대비 16.6%(1만400명) 줄었다. 쉽게 말해 조선업체에서 일자리가 1만개가량 사라진 셈이다.

전라남도도 마찬가지다. 한은이 전남 지역 대표 조선업단지인 목포 대불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전남 서남부 조선업체의 고용인원을 조사한 결과 같은 기간 근로자가 2만3,000명에서 1만9,000명으로 18.9%(4,000명) 감소했다.


임금체불도 늘었다. 2016년 1~10월 울산 지역 임금체불액은 316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3% 증가했다. 체불 근로자 수는 7,251명에 달했다. 같은 기간 목포 일대 임금체불액은 189억원으로 13.2% 늘었다.

관련기사



한은은 이에 따라 “조선업 환경변화와 지역별 특성을 고려해 발전방안을 추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들 지역은 고용사정 악화로 소비가 위축되는 등의 거시경제적 부작용이 본격화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울산 지역 대형마트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5%, 목포 지역은 0.6% 감소했다.

고용불안은 이들 지역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취업 포털 사람인이 지난달 20일부터 이달 1일까지 기업 인사담당자 32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한 결과 21.8%(37명)가 ‘상반기 채용을 취소하거나 연기한다’고 답했다. 기업 5곳 중 1곳꼴이다. 채용 취소·연기 이유로는 ‘회사 상황이 좋지 않아서(40%·복수응답)’가 첫 번째로 꼽혔다. 이어 ‘업황이 불안정해서(38.6%)’ ‘인건비를 줄이기 위해서(27.1%)’ ‘동종업계에서 다 그렇게 해서(5.7%)’ 등의 순이었다.

기업의 구조조정 계획도 12.8%에 달해 고용사정이 더욱 악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구조조정 계획이 있다고 답변한 기업은 전체 내부인력 중 평균 18%를 줄이려는 것으로 조사됐다. 구조조정 시기는 ‘올해 2·4분기’에 한다는 기업이 34.1%였다. 다음은 ‘올해 1·4분기(26.8%)’ ‘올해 3·4분기(14.6%)’ ‘내년 이후(14.6%)’ 등의 순이었다.

김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