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김정남 시신, 베이징 거쳐 北 이송

암살 용의자 2명도 北 출발

주말레이시아 북한대사관에 은신해온 김정남 암살 사건 관련된 현광성 북한대사관 2등 서기관과 고려항공 직원 김욱일이 31일 베이징에 도착한 모습./연합뉴스주말레이시아 북한대사관에 은신해온 김정남 암살 사건 관련된 현광성 북한대사관 2등 서기관과 고려항공 직원 김욱일이 31일 베이징에 도착한 모습./연합뉴스


김정남 암살 사건의 용의자였던 현광성 북한대사관 2등 서기관과 고려항공 직원 김욱일이 31일 새벽 경유지인 베이징에 도착한 뒤 이날 오후 평양으로 출발했다.

이들은 말레이시아에서 베이징에 도착한 김정남의 시신과 함께 중국 국제항공(CA)편을 이용해 같이 귀국길에 오른 것으로 알려졌다.


이 두 사람은 전날 오후 말레이시아 항공을 이용해 쿠알라룸푸르에서 출발해 이날 새벽 2시경(현지시간) 도착해 주중 북한대사관으로 이동했다.

말레이시아와 북한이 김정남 암살 사건으로 대립하며 북한에 억류됐던 말레이시아인 외교관과 그들의 가족 등 9명도 31일 평양에서 풀려나 쿠알라룸푸르 현지에 도착했다.

북한과 말레이시아는 지난달 13일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이복형인 김정남이 살해된 이후 말레이 당국이 북한 국적자들을 용의 선상에 올리면서 극한 대립을 이어왔다.


양측은 난항을 거듭한 비공개 협상 끝에 30일 날 최종 합의를 했다. 김정남의 시신은 북한에 넘기고 상대국 국민에 대한 출국금지 조치를 해제하면서 사태는 마무리됐다.

관련기사



김정남의 시신이 북한으로 이송됨에 따라 김정남 암살 사건 자체는 영구 미제로 남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말레이시아가 김정남의 시신을 유족이 아닌 북한에 인계하고 암살 용의자들마저 귀국을 허용함에 따라 사건의 진상을 조사하기 더욱 힘들어졌기 때문이다.

베이징 소식통은 “어차피 김정남 암살 사건을 북한으로선 사활을 걸어야 했기에 처음부터 영구 미제로 남을 수 없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이번 사건이 겉으로는 끝난 거 같지만, 자국민을 인질로 삼았던 북한에 대한 말레이시아의 추가 보복이 있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윤상언 인턴기자 sangun.youn@sedaily.com

윤상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