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경기도, 결핵 인구 10만 명당 55명→50명으로 줄인다

경기도가 인구 10만 명당 55명 수준인 결핵 환자 발생률을 올해 50명으로 줄인다.

도는 올해 결핵 발생률을 2015년 기준 도민 10만명당 55명보다 10% 낮추고 2020년에는 10만 명당 44명인 20% 감소를 목표로 ‘2017 결핵 퇴치사업’을 시행한다고 2일 밝혔다.

도는 이를 위해 96억원을 투입한다. 이는 지난해 61억원보다 35억원이 늘어난 것이다.


경기도 결핵 신환자는 2011년 7,761명, 2013년 7,523명, 2015년 6,782명, 2016년 6,577명 등으로 감소 추세다. 하지만 지난해 기준 전국 환자 3만892명의 21.2%를 차지하는 등 발생비율이 여전히 높은 실정이다.

관련기사



도는 노숙인, 65세 이상 고령자 등 취약계층과 고위험군에 대해 결핵검진을 실시하고 잠복결핵을 관리하는 등 지역사회 결핵 확산을 방지할 방침이다.

우선 노숙인, 외국인 근로자, 다문화가정 등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이동검진과 집단검진을 시행한다. 총 검진대상은 46만9,600명으로 지난해 검진한 41만7,997명보다 5만 명 이상 늘었다. 또 한 집단에서 결핵 환자가 6개월 이내 2명 이상 발생한 경우에는 밀접하게 접촉한 사람을 중심으로 집단 검진할 예정이다.

조정옥 경기도 감염병관리과장은 “결핵이 사회활동이 활발한 20~60대와 70세 이상 노년층에서 많이 발생하고 집단시설에서 증가추세를 보이는 점을 고려해 효과적인 결핵 퇴치사업 계획을 마련 했다”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