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22년만에 '베이징·서울·도쿄 라인' 부활하나

서울시 "환경·문화·관광 등 집중, 동북아 4개국 수도 협력기구 추진"

왼쪽부터 고이케 유리코 도쿄도지사, 박원순 서울시장, 차이치 베이징시장.왼쪽부터 고이케 유리코 도쿄도지사, 박원순 서울시장, 차이치 베이징시장.


서울과 중국 베이징, 일본 도쿄를 연결하는 ‘베세토(BESTO)’ 라인의 부활이 추진된다.

서울시는 2일 서울시의 도시외교 중장기 계획을 담은 ‘도시외교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서울시는 ‘세계와 함께 나누는 서울(Seoul, Global Sharing City)’을 비전으로 △글로벌 도시 문제 해결 △동북아 평화와 번영 기여 △민관 협치형 도시외교 △도시외교 기반 조성 등 4대 기본 방향과 함께 12개 과제를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가장 눈에 띄는 과제는 동북아 4개국 수도가 참여하는 상설 협력기구인 ‘동북아 수도 협력기구(가칭)’의 추진이다. 이번에는 기존의 서울·베이징·도쿄에다가 몽골의 울란바토르도 포함시켰다. 서울시는 도쿄·베이징과의 협의를 거쳐 오는 2020년이면 기구 구성이 가능해질 것으로 봤다. 이 기구는 동북아를 망라한 주요 국가 수도를 연결하며 미세먼지 등 환경 문제와 문화·관광, 교육·청소년 교류 등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남북 관계 개선을 전제로 장기적으로 평양까지 대상을 확대하기로 했다.

동북아 수도 간의 협력 구상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첫 시도는 바로 ‘베세토’다. 베이징(Beijing)과 서울(Seoul), 도쿄(Tokyo)의 머리글자를 딴 베세토(BE-SE-TO)는 지난 1993년 10월 일본 도쿄에서 열린 세계수도시장회의에서 처음 제기됐다. 이어 2년 뒤인 1995년 3월 당시 최병렬 서울시장, 리치옌 베이징시장, 스즈키 준이치 도쿄도지사는 ‘베세토 협력에 관한 합의각서’를 발표했다. 각서에는 경제·사회·문화·체육 등 분야의 민간 교류와 공동 협력 내용이 담겼다.


명목은 좋았지만 아쉽게도 실질적인 성과는 없었다. 서울시의 한 관계자는 “1990년대에는 도시 간 협력이라는 것이 생소한 개념이었다”고 회상했다. 더욱이 1999년 도쿄도지사로 극우 성향의 이시하라 신타로가 취임한 이후 협력은 완전히 중단됐다.

관련기사



정치적으로 소원한 관계는 지금도 마찬가지지만 대신 협력의 필요성은 더욱 커졌다. ‘국가’ 대신 ‘도시’가 나선 이유다. 미세먼지 등 환경 문제의 심각성을 포함해서 문화나 관광에서 도시 간의 협력이 절실해졌다. 지방정부의 역할을 강조하는 박원순 서울시장을 통해 한국 측이 주도권을 쥘 가능성이 높아졌다.

한편 서울시는 도시외교를 위한 재원으로 해외 도시와의 교류협력을 위한 대외협력기금을 지난해 말 27억원에서 2020년까지 총 100억원으로 확대한다. 또 서울시 본청, 22개 투자출연기관, 25개 자치구별로 각각 추진 중인 국제교류 사업을 통합·조정하는 컨트롤타워로 ‘도시외교 정책회의’를 신설한다.

서울시 관계자는 “정치·사회적 상황에 영향을 받는 전통적인 국가 간 외교에 비해 도시외교는 기후변화 대응이나 사회 양극화 같은 시민 삶을 구체적으로 바꾸는 것과 직결된 글로벌 이슈를 빠르고 실용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