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현금 흐름 2년만 안 좋아도…5개 업종, 대출받기 어렵다

당국, 취약업종 사전관리 강화



금융당국과 시중은행이 조선·해운에 이어 철강과 건설·석유화학업종 등 5대 취약업종 대기업에 대한 신용위험평가 대상을 대폭 확대하기로 했다. 제2의 대우조선해양 사태 재발을 막기 위해 위험징후가 있는 기업에 대해 사전관리를 강화하겠다는 것이다.

4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과 시중은행들은 올해 기업 신용위험평가 착수를 위한 실무회의를 최근 열고 조선·해운·철강·건설·석유화학 등 5대 취약업종 대기업에 대한 평가기준을 강화, 적용하는 방안에 합의했다. 대기업 신용위험평가는 은행 여신이 500억원 이상인 기업으로 주채권은행의 일반평가 대상이 된다. 이 가운데 3년 이상 이자보상배율이 1 이하이거나 3년 연속 적자, 자산건전성 요주의 이하 등급일 경우 세부평가 대상이 된다. 이자보상배율이 1 이하인 기업은 영업이익으로 대출이자도 갚지 못해 도산 직전의 기업에 속한다.


당국과 은행들은 올해 5대 취약업종에 대해서는 세부평가 기준을 기존보다 대폭 상향해 이자보상배율 1 이하인 기준을 3년에서 2년으로 대폭 강화, 적용하기로 했다. 2년만 현금흐름이 좋지 않아도 세부평가 대상이 된다는 뜻이다. 여기에 상각전영업이익 대비 차입금(Debt to EBITDA) 비율이 5 이상인 기업도 세부평가 대상이 된다. EBITDA는 법인세와 감가상각 등을 빼기 전 영업이익으로 기업의 실제 현금창출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EBITDA 차입금 비율이 5를 넘으면 현재 이익 수준으로 5년 이상 갚아야 하는 빚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밖에 보조지표로 EBITDA 이익률, 즉 현금 기준 영업이익률 2% 기준도 적용된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지난해 석유화학업종을 중심으로 실적 개선 분위기가 나타나고 있지만 돌발 부실이 터져 나와 산업 생태계와 경제 심리에 타격을 입는 상황을 차단해야 한다는 데 뜻을 모았다”고 말했다. 이번 신용위험평가 강화로 대상 대기업들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의 경우 여신 500억원 이상인 대기업 1,973개사 가운데 602개가 세부평가 대상이 됐지만 올해는 이보다 최소 수십개의 기업들이 추가로 포함될 가능성이 커졌다. 지난해 신용평가 결과 13개 기업이 C등급을, 19개 기업이 D등급을 받았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오는 7월 말께 세부평가까지 마무리 짓고 기업별 등급을 산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당국과 시중은행이 하반기로 예정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신용위험평가에서도 적용 기준을 강화할 경우 대기업보다 파급력은 훨씬 더 커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김흥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